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안정신 (부산대학교) 최명애 (부산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30권 제1호
발행연도
2019.2
수록면
71 - 82 (12page)
DOI
10.7856/kjcls.2019.30.1.71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ambivalence, maternal separation anxie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 living with unmarried adult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maternal separation anxi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178 mothers providing economical, instrumental, and emotional support to their unmarried adult children. Results showed that ambivalence and maternal separation anxiety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others’ ambivalence had a negative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 and maternal separation anxiety had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the intervention of improv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 living with dependent unmarried adult children.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4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