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소기업 종사자들은 수십 년의 직장 근무경력에도 불구하고 퇴직 후 직장에서 쌓은 직무역량을 활용한 자영 업종에 진출하지 못하고 있다. 대기업과 달리, 중소기업은 당장 성과에 치중하다 보니 종사원의 중장기적인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시스템을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다. 중소기업 종사자들의 직무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를 분석하여 중소기업 인사담당자를 위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의료, 공무원, IT 등 특정 업종 분야에서 직무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 분석은 있지만, 중소기업 종사자들에 대한 분석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일반 종사자들의 직무역량을 종속변수로 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를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직무 적합성과 조직 공정성으로 설정했다. 이들의 하위 변수로는 직무 적합성에는 지식, 기술, 경험, 욕구를, 조직 공정성에는 분배, 절차, 배치 공정성을 각각 도출하였다. 국내 중소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2019년 2월~3월에 걸쳐 Likert 5점 척도에 의한 설문조사를 진행했으며, 323명으로부터 설문을 회수하여 SPSS와 AMOS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직무 적합성의 4개 하위 독립변수 가운데, 지식, 기술, 경험은 직무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욕구는 그렇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공정성의 3개 하위 독립변수 가운데, 배치 공정성은 직무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분배와 절차 공정성은 그렇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인사담당자는 채용, 배치, 승진 등 단계별로 지식, 기술, 경험, 배치 공정성 등의 독립변수를 적절히 활용하여 종사자들의 직무역량을 향상할 필요가 있다. 직무역량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지 못하는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향후 직무역량 모델링 연구가 필요하다.
Despite decades of work experience, workers a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 here have yet to make inroads into the self-employed sector that utilizes the job competency they have accumulated at work after retirement. Unlike large companies, SME do not have a proper system for improving the long-term job competency of their employees as they focus on their immediate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analyse the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the job competency of employees of SME to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personnel of SME. In the preceding studies, there are independent variable analyses that affect job competency in specialized industries, such as health care, public officials and IT, but the analysis of workers at SME is insufficient. This study set the person-job fit and organizational justice based on the prior studie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the job competency of SME general workers as a dependent variable. The sub-variables of each variable derived knowledge, skills, experience, and desire for person-job fit, and distribution, procedural and deployment justice for organizational justice, respectively. The survey of employees of SME in Korea was conducted from February to March 2019 by Likert 5 scales, and the survey was retrieved from 323 people and analyzed in a demonstration using the SPSS and AMOS statistics package. Among the four sub-independent variables of person-job fit, knowledge, skills and experience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job competency, and desire was not shown to be so. Among the three sub-independent variables of organizational justice, deployment justic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job competency, but distribution and procedural justices have not. Personnel managers of SME need to improve the job competency of their employees by appropriately utilizing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knowledge, skills, experience and deployment at each stage, including recruitment, deployment, and promotion. Future job competency modeling studies are need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hich fails to objectively measure job compet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