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속에서 매체는 대중에게 지배 이데올로기를 전달하기 위한 교묘한 수단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져 왔다. 그 중에서도 특히 애니메이션은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전연령대에서 선호하는 대표적인 영상매체로, 애니메이션을 통해 전달되는 이데올로기는 일반 대중들에게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대표적인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디즈니는 과거 사회,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작품을 제작해왔다. 성별을 이분법 논리로 양분하고 작품 속 캐릭터들이 남성 우월주의 기반의 정형화된 젠더 역할을 수행하도록 이끌었다. 그러나 사회적 분위기가 변화하면서 여성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고, 이에 따라 대중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는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여성캐릭터에 대한 비판이 지속되면서 디즈니 역시 여성캐릭터의 역할과 성격에 변화를 모색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먼저 디즈니의 여성캐릭터 중 일부를 선택하여 시대를 대하는 여성 캐릭터의 사회적 태도와 목적, 그리고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최종행위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디즈니의 여성 캐릭터는 현재 자기 주도적이거나 여성들의 연합을 통해 일을 해결하는 주체성을 보이며,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고자 하는 의지를 나타내고, 성장을 통해 스스로를 개발시킨다. 이는 결혼이라는 제도를 통해 남성에 종속되던 과거와 달리 주체적으로 사회 지도자의 위치를 차지하는 결과를 가져다준다. 다만 과거와 현재 모두 이야기의 마지막에 완성된 세상은 가족의 완성이라는 결과물로 표현되며, 기존의 지배체제의 유지를 메시지로 전달한다. 즉, 디즈니는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서 남성의 위치에 여성을 배치하는 변화를 보였지만, 그 완성은 여전히 수직구조의 계급사회를 유토피아로 표현하고 있다. 즉, 남성이건 여성이건 영웅은 개인의 자유보다는 회귀를 통해 기존 지배체제를 유지해야함을 중심 메시지로 전달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디즈니의 사례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듯이 대중문화로서 애니메이션은 사회적 분위기를 담고 있다. 과거에는 지배계급의 권력 유지를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어 특정 이데올로기를 전달했지만, 매체 발달과 디지털 기술의 도입으로 제작과 전달이 용이해지면서 대중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게 되었다. 시대를 반영하는 대중문화로서 애니메이션을 분석하고 그 방법론을 터득한다면, 타깃을 겨냥한 작품 제작을 용이하게 할 것이고 이는 흥행작을 위한 하나의 예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In modern society, the media has been used as a way of conveying ideology to the public. Among them, animation is the favorite visual media for all ages, so the ideology delivered through animation has a great impact on the general public. Disney has produced works based on social and political ideologies that have been the background of their production. They divided gender into dichotomy and made characters to play a gender role based on male chauvinism. However, as the status of women rose, gender discrimination was criticized. Disney also had to change their character. In order to understand Disney"s production methodology to reflect the social chang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ir intentions, features, and character changes. To study this process of change, we first selected Disney"s female characters and analyzed their social attitudes, goals, and final behaviors. As a result, Disney"s female characters are now self-directed and show the independence through women"s associations, expressing their willingness to pioneer their destiny, and developing themselves through growth. This results show the social leader unlike the past, which was subordinated to men through the system of marriage. But the completed world at the end of the story both past and present is expressed as the result of the completion of the family, and conveys the maintenance of the existing governing system as a message. In other words, Disney placed the women in the position of men in patriarchal ideology, but the completion still expresses the vertical class society as utopia. As a result, Disney"s heroes, whether male or female, convey the central message that they must maintain the existing governing system through regression rather than individual freedom. As the case analysis shows, animation conveys the atmosphere of society. In the past, it was used to maintain the ruling class"s power and conveyed specific ideologies.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media and the introduction of digital technology, the production and delivery became easy to reflect various opinions of the public. If we analyze animation as a popular culture reflecting the times and learn the methodology, it will facilitate the production of works aimed at the target, which can lead to an example for su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