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들어가면서
Ⅱ. 표현과 창조: 생명의 體驗과 생명의 顯現
Ⅲ. 회화의 양과 질: 물질과 생명
Ⅳ. 데포르메: 표현과 창조의 한계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 추상회화의 수용과 정착
기초조형학연구
2020 .02
2000년 전후 중국 동시대 추상미술의 발전 배경 연구
현대미술사연구
2023 .12
추상회화의 현재 : 구미·일본·현재 그리고 여성의 추상
미술사논단
2019 .12
출구, 1980년대 이후 대만의 신추상미술
미술사논단
2020 .06
오지호와 반 고흐의 과수원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19 .12
딩이(丁乙)의 시점(視點)에 의해 변화하는 ‘十’자 추상회화에 관한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22 .07
중국 동시대 추상미술의 해외 진출 연구
동양예술
2024 .02
데포르마시옹을 응용한 아트메이크업 연구
국제보건미용학회지
2021 .01
김주경의 1929~1938년 평문 연구 - 민족미술 구현을 위한 계몽적 예술론을 중심으로
인물미술사학
2019 .12
이상적 자연주의, 생성의 회화론 : 김주경(金周經 1902~1981)의 초기 미술비평
인물미술사학
2016 .12
매체로서의 회화: 추상회화의 환원과 확장
미술사와 문화유산
2023 .02
1980년대 중국에서의 추상에 대한 담론 연구
현대미술학 논문집
2016 .06
이승조의 ‘실재와 비실재’의 추상회화 연구
조형교육
2016 .12
세 가지 변증법 - 한국 추상미술의 역사와 역사주의: 1960년대-1980년대의 추상미술 담론을 중심으로
현대미술사연구
2022 .12
추상회화의 실존적 수용 과정에 관한 연구 -본인의 작업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021 .02
抽象絵画の現在-欧米 · 日本 · 現在、そして女性の抽象
미술사논단
2019 .12
청강 김영기(金永基, 1911~2003)의 생애와 회화이론 - 196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22 .07
회화의 확장성과 건축의 공간성 : 카타리나 그로세(Katharina Grosse)의 미술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미술문화연구
2021 .12
중국현대미술 전개과정에서 추상미술이 가지는 의미
기초조형학연구
2023 .08
『吳之湖 · 金周經 二人畵集』을 통해서 본 김주경의 1930년대 작품
인물미술사학
2019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