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이경화 (부경대학교)
저널정보
동북아시아문화학회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1년 춘계연합국제학술대회
발행연도
2021.7
수록면
121 - 128 (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importance of observing and documenting children’s play is more emphasiz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4th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pursuing for a child-and-play-centered.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childcare teachers conceptualized the purpose of observation and documentation of play, and what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while observing and documenting play. The data are collected from 189 childcare teachers through distance interviews via e-mail, and the thematic analysis is conduc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core purpose of observation and documentation of play is ‘understanding of child development’; and the main difficulty is ‘the realistic limit of childcare environments.’ This study critically discusses the tensions and contradictions in the dominant discourses of ‘development’ and ‘objectivity’ within observation and documentation, and it suggests the expansion of the policy and academic horizons for observation and documentation in which children’s play is alive.

목차

1. 문제제기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1-910-0018590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