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정현철 (전북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윤현수 (원광대학교)
저널정보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제8권 제3호
발행연도
2020.1
수록면
159 - 175 (1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는 코로나 19 펜데믹(Pandemic)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온라인 수업 중 교육부에서 권장한 3가지 형태의 구체적인 체육수업 사례를 살펴보고 그 교육적인 의미를 중심으로 효율적인 운영 가능성과 과제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유목적 사례 표집을 사용하여 S, B, J 지역에서 온라인 체육수업의 전문가 역할을 하고 있는 교사 3인과교사 3인이 추천한 학생 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체계적인 귀납적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시간 화상수업이 가능한 쌍방향 체육수업은 실시간 원격 교육 플랫폼을 활용하여 교사와 학생이 영상을 통해 소통과 친밀감을 바탕으로 플랫폼의 장점을 활용하면서 수업이 운영되고 있었다. 녹화 시청과 활동형이 중심이 되는 콘텐츠 활용 중심 체육수업은 강의를 기본으로 다양한 영상 자료를 활용하며 이론과 실기가 통합된 새로운 형태의 체육수업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과제 수행 중심 체육수업은 체육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과제가 제시되고 학생은 과제를 업로드하며 교사는 채팅방에서 학생과 상호 적극적인 활동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고 있었다. 향후 온라인 체육수업의 과제로는 첫째, 제한된 환경과 용·기구, 체육 교수·학습법, 체육 학습 영역이 온라인 체육수업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변화를 통해 체육의 가치를 구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온라인 체육수업 시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을 위해 과제 구조 및 피드백을 활용하고 학생 간 상호작용을 위해 팀 학습(team project) 등을 활용하듯이 상호작용이 가능한 다양한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현재의 온라인 체육수업의 단편적인 평가와 달리 온라인 체육수업의 틀에 맞는 다양한 평가 방법이 도입되고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이 연구가 온라인 체육수업의 활성화에 기본적인 토대가 되기를 희망해 본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2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