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최원호 (동서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영상기술연구 영상기술연구 제38호
발행연도
2022.5
수록면
43 - 58 (1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ttempts to VR video are continuing. However, killer content that can establish itself in the media ecosystem by effectivel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VR images has not yet appeared. This is not because there is a lack of skills for later work such as understanding filming and stitching. This is because an appropriate means of communication that can effectively contain messages and meanings beyond the media splendor of VR has not been secur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ystematize image grammar for VR to move toward Cinema. More specifically, after the movie is born, we will review the process of establishing video grammar and review the existing video grammar. Subsequently, along with the case study, I would like to propose a video grammar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VR by reflecting the experience that researchers have produced VR images. Rather than simply presenting possibilities at the theoretical level, based on the experience of continuously researching and producing new media such as 3D stereoscopic images, holograms, and VR images, the methodology for changing images in VR will be systematized and verified.

목차

Ⅰ . 서론
Ⅱ . 연구의 목적 및 선행연구
Ⅲ . 연구방법 및 내용
Ⅳ . VR Cinema와 영상문법
Ⅴ . 결론 및 기대효과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3-688-0000526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