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구보경 (서울디지털대학교)
저널정보
한국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논총 미술교육논총 제35권 제3호
발행연도
2021.9
수록면
259 - 280 (2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코로나 이후 강조되고 있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확산이 뮤지엄과 뮤지엄 관람객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과 기기활용에 익숙해진 관람객을 대상으로 실제 뮤지엄 방문과 비대면 뮤지엄 경험의 학습환경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향후 포스트 코로나시대 디지털 신기술을 활용한 뮤지엄 교육 활용방안과 실천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디지털 기술은 모두가 접근하여 경험하고 학습할 수 있는 뮤지엄이 되기 위한 미래지향적 교육에 유용한 전략이 될 수 있다. 기술을 활용한 전시물과 전시공간은 뮤지엄의 공공성 및 교육적 역할을 확장시켰다. 시공간의 제약, 펜데믹과 같은 예상치 못한 위기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향유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었다. 뮤지엄이 다양성, 창의성의 가치를 구현하며 문화적 소양과 예술적 감수성을 디지털 시대의 중요한 자산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기술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앞으로 참여와 경험의 플랫폼이자 학습의 장으로서 뮤지엄의 역할은 더욱 확장될 것이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2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