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달효 (동아대학교)
저널정보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교육혁신연구 교육혁신연구 제26권 제3호
발행연도
2016.12
수록면
1 - 16 (16page)
DOI
http://dx.doi.org/10.21024/pnuedi.26.3.201612.1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연구목적: 학교는 학원 같은 사교육 기관이 아닌 사회를 대표하는 공교육 기관인 만큼, 우리 사회가 학교에 기대하고 요구해야 하는 것은 ‘좋은 학교’의 특성임을 깨달아야 한다. 하지만 많은 시?도 교육청은 학교평가 척도로서 학교가 실적과 성과를 얼마나 많이 올렸는가를 측정하고 있다. 이 같은 학교평가 체계가 과연 옳은 것인지 의문을 제기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좋은 학교’의 특성을 근거로 하여 현행 학교평가에 주는 시사점을 밝혔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국내외의 '좋은 학교‘에 관한 문헌들을 분석의 바탕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좋은 학교’의 특성을 네 가지 차원으로 규명하였다. 즉 행정적 차원으로는 교사의 수업 전념을 위한 잡무 경감, 행사 축소, 교육복지가 포함되고, 교육적 차원으로는 공동체의식, 시민의식, 민주교육이 포함되며, 관계적 차원으로는 상호협동, 상호존중, 긍정적 기대가 포함되고, 가치적 차원으로는 자율성, 창의성, 다양성이 포함됨을 규명하였다. 결론: 이를 바탕으로 현행 학교평가에 주는 시사점을 평가 지향성, 평가 척도, 평가 방법 및 활용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1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