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개요
1. 서론
2. 강릉관노가면극 속 서사모티프
3. 강릉관노가면극의 서사모티프 활용방안
4. 강릉관노가면극의 발전 방향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관노가면극의 전승 주체 변화에 따른 창조적 계승 - 시민 참여형 전승 실태를 중심으로 -
강원민속학
2024 .03
강릉 관노 탈놀이의 연극성 연구
강원민속학
2023 .03
1253년 충주성전투 승첩과 방호별감(防護別監) 김윤후(金允侯)의 역할
한국사연구
2023 .09
1967년 강릉단오굿의 구성과 가치 -임석재 강릉단오제 음원을 중심으로-
한국무속학
2025 .02
신간회 강릉지회의 조직과 활동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2 .06
강릉학의 연구 동향 및 지식 구조 탐색 -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도시인문학연구
2019 .01
조성규 영화에 나타난 강릉의 재현 방식과 지역 표상의 새로운 가능성
어문논집
2020 .01
『경셩유록』에 나타난 강릉방언 모음의 음운론적 특징
어문논총
2023 .08
강릉아리랑의 존재양상과 전승실태
강원민속학
2015 .12
[전통시장 탐방] 강릉사람들의 아침맞이 : 강릉 새벽시장
여행스케치
2023 .06
근·현대 강릉 중심부 공간 활용 추이와 그 요인
江原史學
2017 .01
강릉지역 바다를 활용한 K-영상콘텐츠 개발 방안
비평문학
2023 .12
가면극을 감상하는 고등학생의 반응 양상과 교육적 제언
우리말교육현장연구
2018 .01
기아회생모티프와 가사회생모티프 연구
우리어문연구
2018 .01
[흐르는 강물처럼-3회] 다시 강릉에 오거들랑
월간에세이
2023 .11
한말~일제강점기 강릉지역 유림의 활동 양상과 그 의미 - 지역사회에서 유교문화의 현대적 계승과 과제 -
고전과 해석
2019 .01
호강이란 무엇인가 - 정원용 처 강릉 김씨의 경우
이화어문논집
2021 .01
고향여행자의 2024 소(所)는 누가 키우나 ⑦_강릉 여행의 프롤로그 혹은 에필로그 : 강릉 무명
여행스케치
2024 .11
일제강점기 詩湖 朴元東의 강릉 지역 유교문화 유산의 정리 활동과 그 의미
동방한문학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