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상희 (경희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한희석 (경희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저널정보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한국디자인포럼 한국디자인포럼 제29권 제3호
발행연도
2024.8
수록면
103 - 114 (1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연구배경 산업과 사회의 수요에 따라 디자이너의 역할은 다원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디자인 사고와 표현 외에도 다양한 산업과 학문, 그리고 기술과의 협력과 융합이 중요해졌다. 즉 시각적 표현을 넘나드는 인문사회와 예술, 과학, 기술을 아우르는 융복합적 디자인 사고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것은 나아가 4차 산업혁명 이후의 새로운 디자인의 패러다임 확장을 표방하고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에 부응할 수 있는 디자이너 인재 육성을 위한 디자인 중심 교육의 모델 ‘2C-PBL’ (Convergence & Cooperation - Project Based Learning)을 제시한다. 교육 모델의 핵심적인 세 가지의 축은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과 다학제적 구조의 융합(Convergence), 그리고 산학 연계 및 협동을 통한 공동의 협력(Cooperation)이며, 이를 위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각 교육 방법에 대한 정의와 변화, 유형 등에 대하여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이러한 연구과정에 따라서 현대의 디자인 중심 교육에서 지녀야 할 목표 지향점을 기준으로 교수자와 학습자, 그리고 전문가의 다원화된 평가 계획 및 체계를 수립하여 교육 모델의 전반적인 프레임을 수립하였다. 본 교육 모델의 프레임은 융복합적인 디자인 사고와 통찰의 과정을 기반으로 하며 앞으로의 사회 수요 변화에 대응하는 디자이너의 다원화된 역할을 인지할 수 있는 경험의 단계를 포함한다. 결론 위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디자인의 본질적 의미라고 볼 수 있는 문제의 인지와 발견, 그리고 해결까지의 과정을 통해 다양한 인접 학문과 융합하고 산학 연계를 통한 면밀한 공동 연구와 검증을 바탕으로 통합적 디자인 사고 능력을 갖춘 디자이너이자 크리에이터를 육성하는 것에 핵심적인 가치를 두고 차세대 디자인 교육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