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는 말
2. 향토성 재론
3. 모방을 통해 저항하기, 김유정의 ‘향토’
4. 성별 권력관계와 섹슈얼리티의 양가성
5. 남는 문제들
참고문헌
국문 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김유정 소설 고찰
국제언어문학
2005 .06
김유정 소설의 남성 인물 연구
비평문학
2001 .07
식민자는 말해질 수 있는가 ― 염상섭 소설 속 식민자의 환유들
대동문화연구
2012 .01
김유정 문학의 유토피아 공동체와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
스토리앤이미지텔링
2015 .06
이효석 소설에 나타난 식민지 무의식의 양상 : 향토와 조선적인 것의 발견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05 .09
[나의 시 나의 시론] 김유정論 외 2편
시조시학
1996 .11
식민자와 식민지인의 세 가지 만남
우리말글
2013 .04
‘향토’의 창안과 조선문학의 탈지방성
한국근대문학연구
2006 .10
김유정 문학의 미학적 정치성 연구
어문론집
2019 .06
문화콘텐츠 '김유정', 다시 이야기하기 : 캐릭터성과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11 .12
김유정 ‘도시소설’의 근대성
한국현대문학연구
2008 .04
김유정 자기서사의 말하기 방식과 슬픔의 윤리
현대소설연구
2014 .08
김유정소설(金裕貞小說)의 아이러니 분석(分析)
동악어문학
1986 .10
김유정 소설의 폭력의 기억과 서사적 재현
인문논총
2018 .01
식민자와 식민지민 사이, ‘재조일본인’ 연구의 동향과 쟁점
역사와 세계
2015 .12
식민지 여성 소비자와 1930년대 후반의 근대 인식 : 이선희의 「계산서」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2012 .08
들병이와 유사가족 공동체 담론-김유정의 소설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2020 .04
식민지 향토 개념의 중층성
한국학연구
2010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