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 초록
1. 문학, 젠더, 글쓰기
2. 패러다임의 전환과 근대문학의 위상
3. 여성용 독물(讀物)과 여성 독서의 지도: 분할과 배제, 그리고 취향의 조정
4. 여성 글쓰기의 계몽과 여성적 글쓰기의 창안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근대 여성 잡지와 여성 독자의 형성 - 『신여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총
2010 .01
여성문학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한국근대문학연구
2009 .04
한일 근대 여성작가의 탄생과 정체성 연구
어문론집
2016 .06
근대 초기 여성 대상 미디어의 현상모집 일고찰 ― 『우리의 가뎡』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2017 .01
근대적 글쓰기 공간으로서 여성 잡지 : 근대 초기 여성 잡지의 실태와 양상 조사
한국근대문학연구
2018 .04
‘여성혐오’의 문학문화사(II)- 1898~1910년을 중심으로
석당논총
2017 .01
1920년대 『조선문단』과 여성문학 섹션의 탄생
우리문학연구
2011 .06
근대여성 주체의 연애담론 분석을 통한 <김연실전> 연구
국제한인문학연구
2020 .01
여성주의 연구방법과 한국근대소설 속 새로운 자아의 탐색
한국현대문학연구
2008 .12
한국 근대 여성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여성과역사
2007 .01
근대초기 ‘여권女權’의 유입과 유교의 재구성
국학연구
2014 .06
여성의 글/쓰기, 생산과 재생산- 근세 시대 영국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017 .01
4대가 여성으로
한국여성신학
1994 .09
근대계몽기 여성 글쓰기의 양상과 "여성주체"의 형성 과정 -1908년 『대한매일신보』, 『여자지남』, 『자선부인회잡지』를 중심으로
韓國古典硏究
2006 .01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여성문학 인식
한국사상과 문화
2009 .01
끝에서 바라본 한국근대문학
한국근대문학연구
2009 .04
해방세대 여성의 이동과 탈주 - 박순녀의 소설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2019 .12
신여성의 근대적 글쓰기 -『 여자계』의 여성담론을 중심으로
동양학
2014 .01
이 땅에서 여성으로 살아간다는 것?
황해문화
2006 .03
여성이여, 일을 갖자
인물과사상
2011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