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개정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성과와 한계점
Ⅲ.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를 위한 입법방안
Ⅳ.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서울가정법원 2007. 6. 29.자 2007브28 결정
[1] 민법이 직계혈족의 배우자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직계혈족과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직계혈족을 제외한 기타 친족에 비하여 보다 넓은 범위에서 부양의무를 인정하는 것은 직계혈족의 배우자의 경우 직계혈족과 부부공동생활을 한다는 점에 기인한 것이라고 할 것이므로 민법 제974조 제1호에 규정된 직계혈족의 배우자는 직계혈족과 부부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89. 1. 25. 선고 88헌가7 全員裁判部
소송촉진(訴訟促進)등에관한특례법(特例法) 제6조 제1항 중 단서(但書) 부분은 재산권(財産權)과 신속한 재판(裁判)을 받을 권리(權利)의 보장(保障)에 있어서 합리적 이유없이 소송당사자(訴訟當事者)를 차별(差別)하여 국가를 우대하고 있는 것이므로 헌법(憲法) 제11조 제1항에 위반(違反)된다.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방안 연구 : 사각지대 규모와 예산 추계
비판사회정책
2017 .08
사례분석을 통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부양의무자 기준 개선방안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016 .03
사례분석을 통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부양의무자 기준 개선방안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6 .04
부양의무자기준의 주요쟁점에 관한 빈민단체활동가 FGI연구
한국사회정책
2017 .09
평등권 침해를 중심으로 본 부양의무자 기준의 위헌성
사회보장법학
2016 .06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상 부양의무자와 부양의 기피·거부
사회보장법연구
2015 .12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부양의무자기준과 민법상 부양의무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7 .06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의 주요 쟁점과 과제 : 단계적 폐지의 문제점과 전면폐지의 당위성을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2018 .11
일본의 부모 부양제도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와의 비교를 통하여
강원법학
2015 .10
[공동성명] 부양의무자기준 조속히 완전폐지하라! (2019. 11. 11.)
월간 복지동향
2019 .12
소득보장을 통한 공적 부양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논총
2016 .01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에 따른 사적이전 소득 구축 여부 분석
재정학연구
2023 .05
부양의무자 기준으로 인한 국민기초생활보장급여 수급 탈락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7 .04
부양의무자기준 폐지 방안 : 비수급 빈곤층, 사각지대 해소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7 .06
제2차 부양의무자 간의 구상관계 - 독일과 오스트리아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 -
비교사법
2020 .08
부양의무자기준으로 인한 수급 탈락·중단·포기 사례 분석 : 빈곤사회연대의 사례와 활동가 FGI를 중심으로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7 .06
민법상 부모부양에 대한 고찰- 독일민법상 부모부양과의 비교 -
법과정책
2016 .01
노부모 부양에 관한 법적 고찰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
2017 .01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우리나라 노인부양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부정행위가 확인되어 게재가 철회된 논문임)
법학연구
2017 .09
기초보장 주거급여에서의 부양의무자 기준 폐지가 빈곤에 미치는 효과 분석: 이중차분 분석을 이용해서
한국사회정책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