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I. 머리말 - 법률과 감정은 과연 양립 가능한가?
Ⅱ. 시적 정의 - 법학과 감정 이론
Ⅲ. 동아시아 법문화 다시 생각하기 - 정과 정리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마사 누스바움의 연민론 : 독서 토론에서 감정의 역할
인간·환경·미래
2015 .10
감정경험을 통한 자기이해 기반 철학상담 기초 연구 - 누스바움 감정론을 중심으로 -
철학연구
2019 .08
누스바움의 혐오 회의론
철학탐구
2016 .08
감성과 인문교육 그리고 세계시민주의 : 마사 누스바움에 관하여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6 .04
감정에 기반한 도덕 이론과 편향성의 문제
윤리학
2024 .06
인공지능과 감정지능 – 누스바움의 감정론을 중심으로 –
건지인문학
2017 .01
E Pluribus Unum의 사랑, 문학과 종교에 대한 이중적 시선: 마사 누스바움의 『정치적 감정』에 대한 서평
문학과 종교
2020 .01
고전소설의 감정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019 .01
감정과 공공성
철학논총
2017 .04
감성의 정치경제학: 마사 누스바움(M. Nussbaum)과 칼 맑스(K. Marx)의 해방적 감성론을 중심으로
인문과 예술
2021 .01
감정의 변화 양상 연구 : 트랜스아이덴티티 이론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2025 .03
한국 동아시아담론의 현재와 미래 : ‘동아시아공동체론’을 중심으로
통일인문학
2015 .09
인공 지능에서 인공 감정으로 : 감정을 가진 기계는 실현가능한가?
철학
2017 .05
감정연구의 도전 : 흐르는 성찰성과 은폐된 미래
한국근대문학연구
2016 .10
법률과 사실, 그리고 서사- 법문학비평의 관점에서 본 전근대 동아시아의 범죄소설
중국문학
2019 .01
1945년 이후의 조선시대사 연구와 유교근대론/ 동아시아론에 대한 post-colonial / trans-national한 관점에서의 비판적 분석과 제언
코기토
2017 .10
아리스토텔레스의 감정 인지성론에 가해져야 할 제한
철학논총
2016 .10
감정의 인지성에 있어서의 정의(definition)의 양상 :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 2권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2016 .12
‘공적 감정’으로서의 공감에 대한 연구 : 스토아주의와 자연주의를 중심으로
철학탐구
2017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