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I. 서론
Ⅱ. 사회보장소송의 의미, 종류 및 현황
Ⅲ. 사회보장사건의 특수성과 행정소송에 의한 심리의 문제점
Ⅳ. 사회보장소송절차의 기본적인 모습과 사회보장법원의 도입 필요성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2008. 4. 17. 선고 2005두16185 전원합의체 판결
[다수의견] (가) `민주화운동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 등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제2호 본문, 제4조, 제10조, 제11조, 제13조 규정들의 취지와 내용에 비추어 보면, 같은 법 제2조 제2호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8. 12. 24. 선고 2007두10945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2. 7. 6.자 92마54 결정
가. 민사소송법상의 보전처분은 민사판결절차에 의하여 보호받을 수 있는 권리에 관한 것이므로, 민사소송법상의 가처분으로써 행정청의 어떠한 행정행위의 금지를 구하는 것은 허용될 수 없다 할 것이다.
자세히 보기서울행정법원 2014. 2. 20. 선고 2013구합51800 판결
甲은 아들 乙과 함께 거주하고 있는데, 관할 구청장이 乙을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상의 `근로능력 있는 수급자’에 해당한다고 보아 자활에 필요한 사업에 참가할 것을 조건으로 생계급여를 지급받는 사람으로 결정하여 통지하였으나, 乙이 자활사업참여 조건을 이행하지 않자 乙에게 추정소득 부과처분을 하고 그에 따라 甲에게 개별가구의 생계·주거급여를 감액하는 급여변경통지를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1. 2. 12. 선고 90다10827 판결
가. 원고가 국가유공자예우등에관한법률소정의 국가유공자인 망 소외 1과 중혼의 상태에 있었고 먼저 혼인한 처가 사망하기까지 중혼이 취소되지 아니하였다면 그 사망 후에는 원고가 위 법 제5조 제1항 제1호 소정의 유일한 배우자로서 같은 법 제13조 소정의 연금지급순위에 있어 제1의 순위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5. 6. 21.자 95두26 결정
가. 신청에 대한 거부처분의 효력을 정지하더라도 거부처분이 없었던 것과 같은 상태, 즉 거부처분이 있기 전의 신청시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데에 불과하고 행정청에게 신청에 따른 처분을 하여야 할 의무가 생기는 것이 아니므로, 거부처분의 효력정지는 그 거부처분으로 인하여 신청인에게 생길 손해를 방지하는 데 아무런 보탬이 되지 아니하여 그 효력정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2. 12. 24. 선고 92누3335 판결
가. 광주민주화운동관련자보상등에관한법률 제15조 본문의 규정에서 말하는 광주민주화운동관련자보상심의위원회의 결정을 거치는 것은 보상금 지급에 관한 소송을 제기하기 위한 전치요건에 불과하다고 할 것이므로 위 보상심의위원회의 결정은 취소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이라고 할 수 없다.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1. 2. 22. 선고 99헌바74 전원재판부
가.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1항 본문은 "공권력의 행사 또는 불행사로 인하여 헌법상 보장된 기본권을 침해받은 자는 법원의 재판을 제외하고는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할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원칙적으로 `법원의 재판` 자체는 헌법소원심판의 대상이 되지 아니하고, 다만 헌법재판소가 위헌으로 결정한 법령을 적용함으로써 국민의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4. 10. 11. 선고 94누4820 판결
행정소송법 제26조가 법원은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직권으로 증거조사를 할 수 있고, 당사자가 주장하지 아니한 사실에 대하여도 판단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지만, 이는 행정소송의 특수성에 연유하는 당사자주의, 변론주의에 대한 일부 예외 규정일 뿐 법원이 아무런 제한 없이 당사자가 주장하지 아니한 사실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일건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사회보장수급권의 보장 측면에서 본 사회보장기본법
사회보장법학
2018 .12
독일의 사회법 분쟁 해결과 사회법원의 역할
사회보장법학
2019 .06
헌법상 사회보장권 보장에 관한 소고(小考) :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에 기한 시론(試論)
사회보장법학
2018 .06
사회보장제도 실현에 있어서 제기되는 문제점과 그에 대한 개선방안 제고
법학연구
2015 .09
사회정의의 사회보장법적 표상
노동법연구
2019 .03
사회보장법의 역사 - 왜, 무엇을 어떻게 연구 · 서술할 것인가?
사회보장법학
2017 .12
전광석 교수님의 사회보장법학 ― 전광석 사회보장법학 眺望 ―
법학연구
2024 .06
사회보장사업의 자치구별 특성 분석과 정책과제: 부산시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2017 .01
독일 사회법의 주요 분쟁 유형과 사회법원의 역할 - 사회법원 통계 분석을 중심으로 -
가천법학
2023 .03
노후 최저생활보장의 법적 기준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2015 .12
사회보장발전 지표 개발 및 적용 연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GRI 연구논총
2021 .11
당사자소송과 그 평가
法學論文集
2019 .01
주거보장의 개념과 영역 정립에 관한 시론적 연구
인문사회 21
2020 .01
집단소송제도 재검토 - 법이론의 관점에서 -
영남법학
2017 .01
사회보장권의 절차법적 보장 - 한국사회보장법학회 2019년도 봄 공동학술대회 참관기-
사회보장법연구
2019 .06
일본 행정사건소송법 개정 이후의 당사자소송의 운용 현황에 관한 고찰 - 판례의 경향을 중심으로 -
공법학연구
2020 .02
헌법상 사회보장권의 보장 : 한국사회보장법학회 2018년도 봄 정기학술대회 참관기
사회보장법연구
2018 .06
본인소송(나홀로소송)에 관한 연구
비교사법
2023 .11
사회보장수급권 보호의 내용과 수준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 21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