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들어가며
Ⅱ. 요코하마 판결의 요지
Ⅲ. 우리나라의 시사점
Ⅳ. 나오면서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대법원 2003. 6. 27. 선고 2001다734 판결
[1]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 사건에 있어서 피해자가 입은 손해가 자연력과 가해자의 과실행위가 경합되어 발생된 경우 가해자의 배상범위는 손해의 공평한 부담이라는 견지에서 손해발생에 대하여 자연력이 기여하였다고 인정되는 부분을 공제한 나머지 부분으로 제한하여야 함이 상당하고, 다만 피해자가 입은 손해가 통상의 손해와는 달리 특수한 자연적 조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6. 10. 27. 선고 2015헌바358 결정
1. 전원개발사업을 실시할 때에는 우리나라 전체의 전력수급상황이나 장기적인 에너지 정책에 부합하는지 여부 등을 고려하여 그 필요성을 따져보아야 하므로, 이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전원개발사업 실시 단계에서 일률적으로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의 승인을 받도록 한 것은 그 타당성이 있다. 다만 원전 사고로 인한 피해의 심각성을 고려할 때 원자력의 특성을 도외시하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6. 10. 27. 선고 2012헌마121 결정
1. 국가는 원자력안전규제 체계를 갖추고 원자력발전소(이하 `원전’이라 한다)의 건설·운영 전반에 걸쳐 원전의 안전관리를 위한 규제 장치들을 두면서, 예상 가능한 `자연재해’와 `인위적 사건’을 고려하여 이를 초과하는 여분의 설계를 하도록 함으로써 원전 사고의 위험에 대비하는 한편, 이러한 설계기준을 벗어나 노심의 손상을 가져오는 `중대사고’에 대하여는 원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원자력손해배상법상 책임집중제도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과학기술법연구
2022 .06
원자력손해배상 자금의 확충 방안에 관한 연구 - 후쿠시마 원전사고로부터의 교훈 -
과학기술법연구
2017 .01
해외사례 비교를 통한 국내 원자력손해배상제도 개선방안
에너지경제연구
2022 .03
국내외 원자력 손해배상의 정부원조 제도에 대한 고찰
과학기술법연구
2023 .06
일본의 원자력손해배상관련 화해의 중개제도의 특성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법연구
2017 .01
Korea’s Nuclear Energy Policy in the Climate Era — Policy Change after the Fukushima Accident —
환경법연구
2015 .01
원자력 손해배상책임에 있어서 보험계약 및 보상계약의 담보력 문제와 그 개선방안
보험법연구
2017 .01
원자력손해배상제도의 배상 실효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토지 배상을 중심으로
부동산법학
2023 .03
원자력 사업자의 민사책임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 미국, 일본, 한국의 비교분석 -
법학연구
2024 .11
한국과 일본의 원자력 정책과 여론: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교훈
한일군사문화연구
2024 .08
후쿠시마 사고 전후, 대학생들의 원자력발전에 대한 위험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환경정책
2015 .09
후쿠시마사고 이후 일본 원자력안전규제법제의최근 동향에 관한 분석
과학기술법연구
2015 .01
중국의 원자력 확대 정책과 원자력 안전
Crisisonomy
2015 .01
원자력발전소의 위험이 인근지역 토지가격에 미치는 영향
부동산경영
2024 .06
사회적 환경 변화 및 갈등에 대응하기 위한 원자력 거버넌스 개편 방안 연구: 대국민 소통 및 참여기구를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
2018 .01
중국의 에너지 안보와 원자력 : 원자력발전 확대와 원자력안전 위험 요인 분석
한국동북아논총
2017 .03
위기 상황에 관한 뉴스 노출과 위험인식, 건강 염려 인식이 위험에 대한 정보 추구 및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 사고를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
2015 .08
원자력 안전규제체제의 독립성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2015 .01
국내·외 원자력 교육 연구 동향 분석
환경교육
2021 .03
원자력 정책공동체의 참여자와 형성요인
한국자치행정학보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