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임대근 (한국외국어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외국어대학교 대만연구센터 대만연구 대만연구 제15·16호
발행연도
2020.6
수록면
25 - 42 (1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article is a small challenge to combat prejudice against short films. To this end, the concept and meaning of short films are summarized, and film festivals as a platform to introduce and screen short films in Korea are examined. In particular, by using a kind of auto ethnography method, it describes the experience of introducing Chinese cultural area films. As a specific example of analysis, the narrative tendency of some short films screened at the ‘2016 Taiwan Film Festival’ are analyzed. The narrative tendencies of the seven Taiwanese short films can be categorized into violent of traditional family system, the sociality and reality of narrative topics, the transidentity agenda and its complexity and the structure of narrative reversal. It is a challenge in our time to discover the possibility of short films as a ‘young’ films and to design a platform for them in Asia to interact. Short films have enough imagination and narrative power to lead future films. I hope that the theoretical discussions and practical efforts for various short films in Asia will be more active, and further expand the scope of mutual sympathy, embracement, approval, and understanding through ‘Asian feeling’.

목차

ABSTRACT
Ⅰ. 머리말
Ⅱ. 단편영화의 개념과 의미
Ⅲ. 대만(중화권) 단편영화의 국내 상영
Ⅳ. 대만 단편영화의 서사 경향: ‘2016 대만영화제’
Ⅴ. 맺음말
참고자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030-0009028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