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효과적인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정책수립과 적용을 위해서는 우리의 삶에 영향을 끼치는 사회변화의 양상에 대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변화에 따라 변모하게 될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이슈들을 예측하고, 현재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현황을 진단한 후 사회변화의 양상에 적합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향후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큰 주요한 사회변화를 선정하고 이에 따라 변모하게 될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이슈를 예측하였다.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연구논문, 정책보고서, 문헌, 법령 등을 통해 선행연구와 정책 동향을 분석하여 현재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법률, 조례, 가이드라인 등을 중심으로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변화를 고려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방향성을 제안했다. 연구결과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 방향성을 도출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주요한 사회변화로 초고령화 사회 진입, 사회통합 추구, 지속 가능한 발전 추구, 신기술 출현 및 산업 다변화 등을 들 수 있다. 현재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법률, 조례, 가이드라인을 사회변화 양상에 비추어 점검한 결과, 향후 우리 사회가 추구해야 할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 방향성을 크게 다음과 같은 네 가지 로 도출하였다. 사회 구성원 간 공존의 가치 추구, 지속가능성의 추구, 공공영역에서 민간영역으로의 확장,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영역 다양화가 그것이다. 결론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미래 사회변화에 대응한 유니버설디자인 정책수립 및 디자인 분야의 유니버설디자인 연구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For the effective establishment of policies and application related to universal design, the comprehensive study on the aspect of social changes that influences on human lives must be performed in priority. Therefore, this study purposes to predict universal design-related issues that will change according to social change,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al design in Korea, and suggest the application direction of universal design considering the social change. Methods This study selected major social changes tha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our society in the future, and predicts universal design-related issues that would be transformed by the social changes. Through the research papers, policy reports, literature, and laws related to universal design, previous studies and policy trend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al design in Korea, focusing on current laws, ordinances, and guidelines related to universal design. Based on such, the application direction of universal design considering the social changes was suggested. Result The major social changes to be considered in deriving the direction of universal design include the entry into an aging society, the pursuit of social integration, the pursuit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diversification of industries. As a result of inspecting the laws, ordinances and guidelines regarding the current domestic universal design, the application direction of universal design which our society should pursue in the future are derived into four directions; pursuance of coexistence value between social members, pursuance of sustainability, expansion from public areas to private areas, and diversification of universal design application area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foundation materials for the establishment of universal design policies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f universal design in design areas corresponding to the future social cha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