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고독의 기원-해방기 경험과 역사적 트라우마
Ⅲ. 죽음충동과 시쓰기, 그리고 어머니의 임종 경험
Ⅳ. 타자성 부재와 ‘결여’로서의 주체
Ⅴ. 결론을 대신하며-대중의 지지와 비극의 힘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병화론: 역사적 트라우마와 자기보존의 여정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1 .06
조병화론: 역사적 트라우마와 자기보존의 여정 토론문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1 .06
조병화 시의 역설적 의미 구조 연구
어문연구
2021 .01
국경을 넘나드는 텍스트의 욕망― ‘김정은 시대’ 북한소설의 재외 과학자들
국제한인문학연구
2021 .08
조병화 시에 나타난 꽃 이미지와 실존적 세계
한국시학연구
2021 .08
역사영화를 매개로 한 역사비평의 가능성 : 역사대중화와 역사의 대중문화화 사이에서 역사연구자의 역할을 고민함
사학연구
2016 .03
‘공공역사’에 기초한 학교 역사교육으로의 변화 가능성 탐색
역사와교육
2021 .11
공공역사: 개념, 역사, 전망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2016 .01
송은영, 『서울 탄생기: 1960~1970년대 문학으로 본 현대도시 서울의 사회사』(푸른역사, 2018)
문화과학
2019 .03
역사가 할 수 있는 것, 해야 하는 것
역사비평
2021 .08
역량 중심 역사교육을 통한 역사학습부진 극복 연구
역사와교육
2018 .01
조병화 초기시 연구 해방과 -전쟁, 피난지 부산 체험을 중심으로-
어문학
2021 .12
일제강점기 역사 연구 방법론과 역사문학의 거리
문학교육학
2023 .03
공공역사의 쟁점과 과제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2023 .02
체험형 역사콘텐츠와 한국고대사 : 역사적 상상력의 제고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
2016 .12
대중적 역사현상의 이론적 메커니즘 - 외른 뤼젠의 역사문화(Geschichtskultur) 이론을 중심으로 -
서양사론
2016 .03
비판적 사고를 위한 역사인식과 학습방법
역사와 담론
2016 .10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유론 정립을 위한 모색: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유에 관한 속류화와 혼란들을 넘어
시대와 철학
2022 .03
李白 <贈>詩 譯解 및 考察(8) — 제32수에서 제34수까지
중국어문논총
2020 .01
李白<贈>詩 譯解 및 考察(7) — 제30수에서 제31수까지
중국어문논총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