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존 오스틴의 분석적 법리학 강의
3. ‘실정법의 과학’으로서 법리학
4. 오스틴의 공리주의 사상
5. 오스틴 법리학의 수용 (1863~1880)
6.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벤담의 공리주의와 재분배
윤리학
2021 .12
두 수준의 공리주의 정당화 논변
인문연구
2016 .12
J. S. 밀의 공리주의와 자유주의
윤리연구
2023 .03
밀(J.S. Mill)의 공리주의 복지에 대하여 : 밀의 『정치경제학 원리』에서 노동자 복지를 중심으로
철학논총
2016 .01
벤담의 공리주의와 철학적 급진주의
윤리연구
2023 .06
행복학, 공리주의, 숙의민주주의
사회와 철학
2016 .04
밀의 공리주의의 규범성의 의무론적 바탕에 관하여
사회와 철학
2017 .10
J. S. 밀의 공리주의에 대한 다수준 제재 행위공리주의적 해석
윤리연구
2020 .01
존 스튜어트 밀의 공리주의 정의론
통일인문학
2023 .09
쾌락 공리주의에서 동기화 문제와 제재 - J. 게이의 신학적 공리주의와 J. 벤담의 공리주의를 중심으로 -
윤리연구
2022 .12
데리다의 오스틴 읽기 - 「서명 사건 맥락」을 중심으로 -
철학연구
2021 .02
벤담의 무의식 개념에 대하여
철학
2024 .11
J. S. 밀의 『공리주의』에서 제재 적절성과 제재 공리주의
윤리연구
2021 .01
왜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은 비판을 받는가?_공리주의 외
인물과사상
2017 .12
J. S. 밀의 공리주의에서 동기화 문제와 제재 이론
윤리연구
2024 .03
존 스튜어트 밀의 공리주의에 관한 한 연구 - ‘공리의 원칙 증명’을 중심으로 -
철학연구
2023 .05
밀의 다층적 공리주의 : 행위 vs 규칙 공리주의의 이분법을 넘어서
철학
2017 .05
벤담의 자연권 비판과 공리주의
철학연구
2021 .10
The Crossing of Confining Boundaries and Women’s Struggles for Psychic Wholeness
영어영문학연구
2015 .01
기부의 윤리적 함의: 소극적 공리주의와 피해자중심의 윤리
철학과 현실
2022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