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웹사이트의 인터페이스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과거 텍스트 위주의 웹 환경에서오늘날 그래픽, 동영상 등 다양한 시각적 요소들을 결합하여 정보를 제시하는 형태로 진화하였다. 또한 웹사이트방문자의 이탈방지와 효과적인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다양한 브라우징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 패럴랙스스크롤링(Parallax Scrolling) 기법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현재 패럴랙스 스크롤링 기법이 적용된 웹사이트들이계속해서 등장하고 있지만 그 효과에 대한 연구는 초기단계로 밝혀진 바가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패럴랙스 스크롤링 기법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패럴랙스 스크롤링 기법이 적용된 웹사이트의 사용자 감성요인, 정보 이해도, 이용의도에 미치는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패럴랙스 스크롤링 유형 3가지(패럴랙스 스크롤링 미적용, 시차 유형, 중심 매개체 유형)와 콘텐츠 7 가지를 조합(3X7)하여 총 21개의 웹사이트를 자극물로 활용하였다. 또한 실험 참가자 70명을 대상으로 PC 환경에서 3가지 패럴랙스 스크롤링 유형의 웹사이트에 배정되어 1분 이상 웹사이트를 탐색한 후 설문지에 대한 답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문제의 가설 검증을 위해 더미 회귀분석과 다중 회귀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실험 결과 패럴랙스 스크롤링기법 적용이 사용자 감성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된 반면 정보 이해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의도에 대한 측정결과에서는 평균에는 차이가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감성요인, 정보 이해도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심미성, 유쾌성, 정보습득이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 중 정보습득이 이용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패럴랙스 스크롤링 기법을 활용 시 단순히 시각적인 즐거움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콘텐츠의 정보가 가시화되어야 하며, 애니메이션 효과를 과도하지 않게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패럴랙스 스크롤링 기법에 따른 사용자 감성요인, 정보 이해도, 이용의도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결과를바탕으로 패럴랙스 스크롤링 기법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the interface environment of website is changing. The method to present information has been evolved from the text-centered web environment in the past to the combination of various visual elements such as graphics and video. Also, for the prevention of website users’breakaway and effective delivery of information, various browsing technologies are developed, and out of them, the Parallax Scrolling technique grabs attention. Currently, the websites applying the Parallax Scrolling technique are continuously appearing while the research on its effects is in the initial stage, so not much has been revealed.
Thu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eceding researches on Parallax Scrolling technique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then to verify the effects of website applying the Parallax Scrolling on the user emotional factors, information understanding, and use intention.
For the empirical research, 21 websites were used as stimuli by combining(3X7) 3 types of parallax scrolling (non Parallax Scrolling, parallax type, central medium type) and 7 types of contents. In addition, 70 people of the experiment were assigned to three parallax scrolling types of websites in a PC environment, browsed the websites for more than one minute, and then filled out the answers to the questionnaire.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e research question, dummy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parallax scrolling techniqu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user's emotional factors, while it had a negative effect on information understanding.
In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use inten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use intention. Lastly,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 to user emotional factors and information understanding on use intention, the aesthetics, amusement and information acquisition had effects on use intention, and out of them, the information acquisition had the biggest effects on use inten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when using the parallax scrolling technique, information on the content should be visualized rather than simply providing visual pleasure, and it is necessary to use animation effects not excessive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aspect of presenting the effective utilization measures of Parallax Scrolling technique based on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on user emotional factors, information understanding, and use intention according to Parallax Scrolling techniq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