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Abstract
1. Introduction
2. Related works
3. Production
4. Results
5. Conclusion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패럴랙스 스크롤링(Parallax Scrolling) 기법의 유형분석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017 .01
패럴랙스 스크롤링 웹사이트의 감성요인과 정보 이해도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2022 .04
〈다다익선〉의 오래된 미래: 쓸모없는 뉴미디어의 ‘시차적 당대성’
현대미술사연구
2019 .12
A Study on Formation of Space through Production with Plane Extensibility – Focusing on Image Expansion in the Webtoon Series Tilly the Spiky Hands
Moving Image & Technology (MINT)
2021 .12
포스트 코로나, 영상 콘텐츠 제작 기술: 가상 제작(Virtual Production) 시스템
영상기술연구
2021 .05
국내 영상 콘텐츠 제작시설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2015 .01
Form and Content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3 .12
차세대 방송콘텐츠 제작인력 양성방안
영상기술연구
2017 .12
`스크롤`의 미디어, 웹툰의 스토리텔링 특성 연구 : 출판만화, 영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5 .10
지역 뮤지컬 콘텐츠 제작과 그 한계
음악과 문화
2023 .03
360VR 콘텐츠 제작 교육에 적용한 PBL 수업 모형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2 .10
LED 버추얼 프로덕션의 가상 공간 배경 방식과 스튜디오 유형에 의한 콘텐츠 제작 특성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4 .06
국악 교육을 키워드로 하는 유튜브 콘텐츠 분석
음악교육공학
2021 .04
A Study of Interactive Interfaces for Children Focused on Hands-on Exhibitions
TECHART: Journal of Arts and Imaging Science
2017 .02
미야자키 하야오 애니메이션의 리얼리티에 대하여 : 실재감을 표현하는 시지각 원리와 균형을 잃은 움직임을 중심으로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2016 .12
Content Design for Multi-view Stereoscopic Video in Real Scene
TECHART: Journal of Arts and Imaging Science
2023 .10
모노스코픽과 스테레오스코픽 VR 시청방법이 이용자에게 미치는 영향 연구 : 프레즌스를 중심으로
영상기술연구
2021 .12
공연기술 진화에 따른 무용 콘텐츠 제작 환경 연구
우리춤과 과학기술
2020 .05
뉴미디어 확장에 따른 콘텐츠 시장의 변화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2020 .01
국내 도시 이미지를 구축하는 도시 공간 문화콘텐츠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