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Guest Editor’s Introduction] Dhāraṇī and Mantra in Ritual, Art, and Text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2020 .12
Enchanting Monks and Efficacious Spells : Rhetoric and the Role of Dhāraṇī in Medieval Chinese Buddhism
불교학보
2015 .09
일심삼관을 통한 원묘요세의 정토사상 고찰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1 .03
정토학 교재의 구성 목차와 수록 내용
한국불교사연구
2021 .12
농소고분(農所古墳) 다라니관(陀羅尼棺)과 고려시대 파지옥(破地獄) 신앙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19 .06
A Ritual Embodied in Architectural Space: The Uṣṇīṣavijayā Dhāraṇī and Yingxian Timber Pagoda from the Liao Empire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2020 .12
고려후기 불교 조영물의 발원 내용에 나타난 불교신앙의 경향
사학연구
2017 .12
Dhāraṇī, Maṇḍala, and Talisman: The Rediscovery of Buddhist Faith in the Goryeo Dynasty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2 .06
소태산의 ‘淨土’관 연구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2 .06
영산재의식에 나타난 진언 및 종자자 장엄
동아시아불교문화
2020 .01
釋門儀範의 지장보살츰부다라니 고찰
불교학연구
2015 .01
〈서산 문수사 금동여래좌상〉 복장 다라니 연구
불교학보
2025 .03
Uṣṇīṣavijayā-dhāraṇī: The Complete Sanskrit Text Based on Nepalese Manuscripts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and Culture
2020 .12
조선전기 관경십육관변상도에 보이는 고려 전통의 계승과 변용-정토인식과 왕생관의 변화를 통해-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18 .01
고대 중국 불상 조상기와 정토신앙
불교연구
2015 .01
어떤 정토를 꿈꾸는가?
한국불교학
2019 .01
법안종(法眼宗)의 영명연수(永明延壽)에 관한 고찰 ―천태, 법화사상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禪學(선학)
2015 .04
조선후기 불교의례ㆍ의식의 밀교적 양상 고찰- 불교의례ㆍ의식집의 몇 가지 도상을 통하여 -
동아시아불교문화
2018 .01
생전예수재 의례집의 다라니(진언) 활용
인도철학
2022 .08
정토신행에 드러난 조사신앙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