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송현동 (건양대학교)
저널정보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종교문화연구 종교문화연구 제10호
발행연도
2008.6
수록면
139 - 159 (2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anatology and religious studies in contemporary Korea and, based on that examination, it tries to explore a new trend in religious studies. People generally trend to avoid talking about issues related to death. Perhaps this is because we are afraid of death. On the one hand, in vein well-being, well-ending become the center of public interest in korea society Well-ending culture modify attitudes on death in Korea. With the result that, thanatology and death education attract an academic attention in psychology, medical science, philosophy, the science of nursing, and anthropo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Religious Studies make death an object of scientific study and must be discussed separately from theology. Thanatology, the scientific study of death, is the research of related with dying, death, and cure. In view of this, Thanatology and Religious studies have an common interests in study on death.

목차

Ⅰ. 머리말
Ⅱ. Well-Ending의 시대
Ⅲ. 죽음학과 종교학의 접점
Ⅳ. 맺음말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205-000837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