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생사학의 연구현황을 살펴봄으로써 학문적 영역으로서 ‘생사학(生死學)’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글이다. 누구나 죽는다는 사실이 죽음학의 출발점이며 죽음의 두려움을 극복하자는 것이 죽음학의 목표이다. 죽음에 대한 불안은 현존하는 인간으로 하여금 일상적 삶을 성찰하는 계기를 제공하며 이 과정에서 삶과 죽음을 상징하는 현재와 미래, 유와 무, 형이상과 형이하를 관통하는 생사관이 생기며 이를 통해 죽음에 대한 불안을 부단히 극복하려고 한다. 따라서 죽음은 삶의 일부이며, 죽음에 대한 불안의 극복은 일상적 삶의 과제이기에 죽음문제는 삶의 문제이다. 이런 측면에서 서양의 죽음학은 동양에서 삶과 죽음이 다르지 않다는 관점에서 생사학으로 재정의 되고 그 영역을 확대해 가고 있다. 생사학이 융합학문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생사학의 개념, 이론, 연구영역, 학문적 성격을 정리해야 한다. 학제 간 융합학문으로 출발한 생사학은 인문학적 접근만 있어서도 안 되고 과학적 접근만으로도 안 된다. 생사학은 삶과 죽음의 문제를 의학과 종교, 철학, 교육학, 심리학, 사회학, 사회복지 등 다양한 범주에서 밀접하게 관련을 맺고 전개하는 융합학문이기 때문이다. 이에 융합학문으로서의 생사학, 특히 한국적 생사학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 지금까지 관련된 연구업적을 분석하고 향후 학문영역으로 발전하기 위한 개념과 이론 정립을 위한 연구노력이 시급히 요청된다. 이 같은 시각에서 먼저 국내 생사학 관련 논문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학제 간 융합학문으로써의 생사학 발전 가능성과 탐구영역 개발, 확장에 대한 논의를 통해 ‘한국적 생사학’의 학문성을 넓히는 데 의미 있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aise the possibilities of Life and Death Studies as a field of academic disciplines and analyzing the domestic research trend of Life and Death Studies. Every living organism dies and death is part and simultaneously point toward which converge all previous phase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death and dying are the starting point for the Thanatology and overcoming fear and pain when making preparations for our own death, which are the aim of the study. Death anxiety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life to human existence and to prepare for our own inevitable death, in the process it can help many of us have view of life and death passing through the present and the future, existence and non-existence, metaphysics and physical science. Death is a part of life and overcoming death anxiety is the agenda of daily life, therefore, the question of death is very relevant to that of life. Life and Death Studies explores how the question affects individuals, families, communities, and cultures. In this respect Life and Death Studies has to redefine and expand its are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udy based on Oriental thought; life and death are the same, in comparison with Western study, Thanatology which focuses on dying and death. Life and Death Studies relies on collaboration with many different fields of study. Because death is such a broad and complex subject, it needs a holistic approach. It is primarily an interdisciplinary study, frequently undertaken by professionals in humanities, social sciences, medical science, religion and mythology. To develop Life and Death Studies as a field of academic disciplines, there must be an accurate definition, theories, critical research area and academic features as convergence studies. Life and Death Studies as convergence studies, especially Korean Life and Death Studies, is urgently called for an effort to analyze research achievements so far and to establish concepts and theories to consolidate its area as academic disciplines. On this view,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examine the theses for master and doctoral degrees and journal articles in Korea and t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Korean Life and Death Studies’ by discussing developmental potential and critical research area as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