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한글요약〉
Ⅰ. 서론
Ⅱ. 외모 차별의 양상 - 고약한 냄새(臭キ香)와 방장의 방(方丈ノ室) -
Ⅲ. 전생의 ‘인연(因縁)’과 깨달음
Ⅳ. 숙업(宿業)의 해소와 왕생의 구조 - 영험 설화의 주제 -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芥川竜之介 『鼻』의 텍스트에 관한 일고찰- 『今昔物語集』를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
2016 .01
20세기 초 한국의 중국어 교재 속 ‘着’ 고찰 -《支那語集成》을 중심으로-
동아인문학
2022 .12
《支那語集成》의 중국어 한글 표기법 연구 : 성모를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역총간
2015 .01
古代 일본 민중의 ‘마음(관념)’ 형성에 보이는 특징 : 『日本靈異記』와 『今昔物語集』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2016 .06
「곤자쿠모노가타리슈(今昔物語集)」에 나타난 부정적 무사담(武士談) 고찰 - 골계담, 악행담, 실패담을 중심으로 -
일본연구
2020 .01
『今昔物語集』에 나타난 업(業)의 고찰
일본연구
2018 .01
『今昔物語集』의 天狗談 고찰
일본연구
2019 .01
내는 업과 받는 업의 관점에서 본 업의 심리적 치유
동서철학연구
2021 .01
니까야에 나타난 업설(業說) 고찰: 업설의 용례와 유형
종교교육학연구
2022 .12
일본 한센병 문학의 계보
열상고전연구
2022 .06
『금석이야기집(今昔物語集)』의 이계(異界)・이향(異鄕) 관련 설화에 관한 고찰
日本學硏究
2018 .01
수레쉬와라의『나이스까름야싯디(Naiṣkarmyasiddhi)』에 나타난 까르마 비판 논증
요가학연구
2016 .01
‘古’와 ‘昔’에 나타나는 時代 解釋과 區分에 대한 考察
漢文古典硏究
2019 .01
『금석이야기집 今昔物語集』의 어령신앙(御霊信仰) 관련 설화에 대한 고찰
외국문학연구
2015 .08
초기 불교적 관점에서 본 여성으로의 태어남과 업
불교학연구
2017 .01
일본어학과 해탈
한국일본어학회 학술발표회
2018 .09
Taming Dragons: The Buddhist Mythmaking of Sacred Violence in Medieval Buddhist Tales Samgukyusa and Konjaku Monogatarishū
동서비교문학저널
2021 .12
마음치유의 원리 : 불교의 업설(業說)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2017 .03
초기불교에 나타난 행복의 의미와 추구 방법 - 니까야 경전을 중심으로 -
윤리연구
2016 .03
사이보그와 AI의 윤회와 해탈 가능성 검토 - <공각기동대>의 쿠사나기와 인형사의 경우 -
종교연구
2021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