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서설
Ⅱ. 하자담보책임에 관한 법률
Ⅲ. 하자담보책임의 기산점으로서 인도일과 사용검사일
Ⅳ. 임대 후 분양전환된 집합건물의 하자담보책임
Ⅴ. 개정 전 집합건물법 시행 당시 임대되었다가 2013. 6. 19. 이후 분양전환된 아파트의 하자담보책임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2012. 4. 13. 선고 2011다72301,72318 판결
구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2005. 5. 26. 법률 제750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집합건물법’이라 한다) 제9조는 집합건물을 건축하여 분양한 자로 하여금 견고한 건물을 짓도록 유도하고 부실하게 건축된 집합건물의 소유자를 두텁게 보호하기 위하여 집합건물을 건축하여 분양한 자의 담보책임에 관하여 민법상 수급인의 담보책임에 관한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8. 7. 31. 선고 2005헌가16 전원재판부
가. 주택법 부칙 제3항은 `법 시행 전에 사용검사나 사용승인을 얻은 공동주택의 담보책임이나 하자보수에 관하여는 주택법 제46조의 개정규정을 적용한다’고 하고 있어, 주택법이 시행되기 전에 사용검사나 사용승인을 받았다면 그 하자가 발생한 시점이 주택법이 시행되기 전이라 하더라도 2005. 5. 26.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9. 12. 21. 선고 98다29797 판결
[1] 상소는 자기에게 불이익한 재판에 대하여 유리하게 취소·변경을 구하기 위한 것으로 승소판결에 대한 불복상소는 허용할 수 없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1. 9. 18. 선고 99두11752 판결
[1] 행정처분에 대한 무효확인의 소에 있어서 확인의 이익은 그 대상인 법률관계에 관하여 당사자 사이에 분쟁이 있고, 그로 인하여 원고의 권리 또는 법률상의 지위에 불안·위험이 있어 판결로써 그 법률관계의 존부를 확정하는 것이 위 불안·위험을 제거하는 데 필요하고도 적절한 경우에 인정된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8. 12. 11. 선고 2008다12439 판결
[1] 공동주택의 사용검사 또는 사용승인은 집합건물의 건축이 완성된 후에 이루어지고 그 후에 바로 주택이 피분양자인 구분소유자에게 인도되는바, 하자발생의 원인이 되는 부실공사 등 공사의 잘못은 성질상 이미 그 때에 모두 발생하여 있다고 할 것이어서 그 당시에 적용되는 하자담보책임에 관한 법률을 일률적으로 적용하여 담보책임 등을 묻는 것이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2. 5. 10. 선고 2011다66610 판결
[1] 구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2005. 5. 26. 법률 제750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집합건물법’이라 한다) 제9조 제1항은, 집합건물을 건축하여 분양한 자에게 견고한 건물을 짓도록 유도하고 부실하게 건축된 집합건물의 소유자를 두텁게 보호하기 위하여, 민법상 수급인의 담보책임에 관한 규정을 준용하도록 함으로써 담보책임의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2. 7. 12. 선고 2010다108234 판결
[1] 2005. 5. 26. 법률 제7502호로 개정된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개정 집합건물법’이라 한다)과 2005. 5. 26. 법률 제7520호로 개정된 주택법(이하 `개정 주택법’이라 한다)은 입법 목적, 하자담보책임의 내용, 하자담보책임의 대상이 되는 하자의 종류와 범위, 하자담보책임을 추급할 수 있는 권리자와 의무자, 하자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집합건물법의 하자담보책임기간의 기산점 -분양전환 공공임대주택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
2022 .05
임대아파트의 분양가와 강행법규이론 - 대법원 2011. 4. 21. 선고 2009다97079 판결(전원합의체) -
행정판례연구
2017 .12
집합건물의 하자담보책임
집합건물법학
2018 .01
분양전환 공공임대주택가격의 심리적 가치 영향분석
주거환경
2021 .03
집합건물의 분양제도에 관한 법리적 검토 - ‘분양’ 개념의 불명확성 문제와 본질 관한 검토를 중심으로 -
법과 정책연구
2022 .09
공동주택의 하자담보책임에 관한 판례의 고찰
법과 정책연구
2022 .09
공동주택 분양률 영향 요인 분석 - 서울시 공동주택 초기 분양률을 중심으로 -
부동산정책연구
2019 .01
지역별 아파트 분양권 실태 및 특성 연구
지적과 국토정보
2018 .01
아파트 분양을 위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대한 AHP 분석
주거환경
2017 .09
집합건물내 상업용건물의 하자담보책임에관한 연구- 집합건물법 개선에 관한 연구 -
비교법연구
2018 .01
한국 아파트 분양시장에서의 시장선점효과
부동산정책연구
2019 .01
아파트 분양광고로 인한 손해배상의 근거 및 그 판단기준 - 허위․과장광고를 중심으로 -
재산법연구
2019 .01
분양전환 공공임대아파트의 분양가격의 적정성 - 강원도 속초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
주거환경
2020 .06
집합건물의 하자담보책임
집합건물법학
2020 .01
아파트 분양계약률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요인들에 관한 분석 : 평면타입별 주택특성을 중심으로
주거환경
2018 .12
공동주택관리법상 하자담보책임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2020 .01
주택 선분양시스템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2015 .01
해외 선분양 사례 및 전문가의견 조사를 통한 효과적인 후분양 활성화방안 연구
주택도시연구
2020 .12
집합건물에 대한 담보책임
아주법학
2018 .01
공동주택의 하자담보책임에 관한 연구 - 집합건물법과 공동주택관리법의 하자담보책임기간 해석을 중심으로 -
동아법학
2019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