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I. 서론
II. 단색화의 기원: 김환기와 이우환 그리고 앵포르멜의 영향
III. 화면 위의 물질과 행위로 보는 단색화의 차이와 문인화의 전통
IV. 결론
참고문헌
국문 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 단색화 비평 연구 : 용어의 모호성과 ‘한국적’의 재고
기초조형학연구
2020 .04
계몽과 담론사이 : 한국 단색화 비평 논의 연구
미술사학
2015 .08
단색화 전통의 계승과 확장 - 마크 로스코와 하종현의 마주침, 그리고 <빛의 숭고>
기초조형학연구
2024 .04
1970년대 한국 단색화 담론과 백색 미학 형성의 주체 고찰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2016 .08
1970년대 한국미술 ‘단색화’의 ‘백색’에 관한 연구
전시디자인연구
2021 .12
The Color Analysis on the Case of 〈Dansaekhwa〉 with Koreans’ Color Sensibility : Focused on The Art Works of Dansaekhwa in 1970s to 1980s
AIC 2017 Jeju
2017 .10
한국적 미니멀리즘: 단색화와 한국 패션디자이너 컬렉션을 통해 본 단순미
한국디자인포럼
2015 .01
フラットベッド画面としての単色画中原佑介の韓国現代美術論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2016 .08
「계몽과 담론사이 : 한국 단색화 비평 논의 연구」에 대한 질의
미술사학
2015 .08
하종현의 작품세계 변화양상과 〈접합〉 시리즈의 물성적 특징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18 .07
플랫베드 화면으로서의 단색화 : 나카하라 유스케의 한국현대미술론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2016 .08
한국 ‘단색화’론에 제시된 ‘한국성’과 이의 자연 과학적 해석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2021 .02
정창섭의 ≪묵고≫(1991-1999) : 현대 사회・문화의 변화 흔적으로서의 작품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2017 .08
1970년대 한국추상회화에 있어서 작위(作爲)와 무위(無爲)의 역설: 이일의 ‘범자연주의’와 박서보의 ‘무위론’을 중심으로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2021 .02
단색화와 예술의 정치성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16 .12
회화를 통한 실재의 추구 - 일본 트릭아트와 한국 극사실 회화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20 .07
글로벌 K-Art의 새로운 로드맵 : 수신에서 사유의 기호로 나아가는 화합의 언어, 단색조 회화
기초조형학연구
2021 .08
1950-1970년대 도쿄화랑 전시 아카이브 연구: 일본현대미술 담론 형성을 중심으로
현대미술사연구
2023 .12
한국 현대미술사에서 ‘단색조 회화’의 연구 동향
미술사논단
2020 .06
이현숙, Go Global! 단색화 신화를 넘어, 세계를 향한 도전
월간미술
2025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