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이현주 (영남대학교) 이수진 (영남대학교) 장유진 (영남대학교) 안옥희 (영남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주거학회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0년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자료집 제32권 제2호
발행연도
2020.11
수록면
253 - 256 (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youth housing policy does not properly reflect the needs of young people. This study surveyed 120 college students belonging to the youth generation on their housing status, housing awareness, and desired youth housing. Currently, there were many "more than 10 years" (33.3%) and "living with parents" (84.2%), while those surveyed who had plans to move wanted to move "in the same administrative district" (32.5%) and "other" (30.0%). "Family health and functions as a resting place" (63.3%) and "main bedroom" and "bathroom" were considered important. When choosing a house, "safety" (4.68), "internal facilities" (4.66), and "ventilation and lighting" (4.51) were considered and satisfied with the "ventilation and lighting" (4.27), "neighborhood" (4.23), and "convenience facilities" (4.21) of the current dwelling. The desired youth housing preferred "alone" (75.0%), "apartment" (60.0%), "more than 250,000 won per month" (59.2%), "self-contained" (63.3%) and "jeonse" (62.5%), while the "etc." (38.7%) was responsible for youth housing literature and the "expanding supply of rental housing for young people" (48.7%) were the most. Through this, we hope to help develop policies for youth housing in the futur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