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 최근 몇 년 동안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가상 인간이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 중 가상 패션 인플루언서는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허물며 새로운 패션 판타지를 창조하고 있다. 기업들은 이들의 성격과 취미를 설계하여 사람들과의 관계 형성을 추구한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가상 패션 인플루언서가 사람들에게 접근하는 방식과 그 의미를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릴 미켈라(Lil Miquela)의 인스타그램 포스팅을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가상 패션 인플루언서의 기능적 역할과 사회적 역할을 도출한다. 둘째, 이들의 소통 방식과 내재된 의미를 이해하고 시사점을 알아본다. 세 번째로, 일상성을 중심으로 한 가상 패션 인플루언서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을 분석하여 파악한다. 연구방법 : 최근 트렌드를 조사하기 위해 2022년 6월 7일부터 2023년 6월 7일까지 릴 미켈라의 1년간의 인스타그램 52개 게시물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릴 미켈라의 인스타그램 포스팅의 이미지와 텍스트 데이터를 앙리 르페브르(Henri Lefebvre)의 일상성과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의 기호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내재된 의미를 파악한다. 둘째, 도출한 의미를 바탕으로 석사 과정 이상의 디자인 전문가 9인의 검토를 거쳐 일상성의 유형과 표현을 분석하였다. 셋째, 텍스트 데이터 주제 분석을 통해 가상 패션 인플루언서의 일상성 기반 커뮤니케이션 방식과 그 활용 형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 첫째, 릴 미켈라는 제품, 배경 및 맥락, 텍스트에 기호학적 의미를 부여하여 자신의 인간적 측면과 서사를 형성하고 있었다. 둘째, 제품을 직접적으로 광고하기보다는 일상적 맥락을 보여줌으로써 사람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는 것에 초점을 맞춘 전개가 관찰되었다. 셋째, 주제 분석 결과,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이 자신의 일상을 공유하고 사람들과의 공감대를 유도하여 팔로워들과 관계를 형성하고 공통의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것에 집중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었다. 넷째, 이러한 일상성을 통한 소통은 가상 패션 인플루언서의 성격, 취향, 관심사를 명확하게 하여 정체성을 확립하도록 하였다. 결론 : 릴 미켈라는 사람들에게 패션 및 문화 정보를 주는 기능적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우상화의 대상이며, 이를 넘어서서 소통, 자아 투영 및 표현의 매개체라는 사회적 역할을 수행한다. 가상 패션 인플루언서의 소통방식은 자신의 취향과 생각을 먼저 제시하여 공유하고, 이에 매력을 느끼는 사람들이 자발적인 팬이 되게끔 유도한다. 이때 설정된 취향들은 인공지능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현재 많은 사람이 관심을 두고 있으며, 시대상을 반영한 사안이되, 사회적으로 선도적인 문화나 가치를 반영한다. 이들은 비난의 댓글에 대한 직접적인 정신적 타격이 없기에 사회적 정책, 성적 취향, 신체 인식, COVID-19 관련 대응 등 사회적으로 이견이 나오는 이슈를 다룰 수 있으며,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초월해 소통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이상적이고 완성도 높은 가상 패션 인플루언서는 매력적인 성격을 기반으로, 소셜 미디어의 순기능이자 인간의 근본적인 욕구인 소통과 위로를 제공할 수 있는 사회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사람과 유사한 의사소통, 인지, 이해, 계획, 신념 표현, 추론, 감정 및 행동 생성 등의 고차원적인 행동을 언어적이고 비언어적으로 구사할 수 있어야 한다.
Background : In recent years, the rapid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has led to create virtual humans, including virtual fashion influencers. They blur the lines between real and virtual and create new fashion fantasies. Companies designing their personalities and hobbies to connect with people meaningfully.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how they approach to people and the meaning behind i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alyze Lil Miquela’s Instagram posts from a socio-cultural perspective to explore the social roles of virtual fashion influencers beyond their functional roles. Second, understand the communication methods and implications for humans. Third, examine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virtual fashion influencers centered on their everydayness. Methods : To examine recent trends, we examined 52 Instagram posts from Lil Miquela between June 7, 2022 to June 7, 2023. First, image and text data were analyzed from Henri Lefebvre’s everydayness and Roland Barthes’ semiotic perspective. Second, we categorized the types and expressions of everydayness through the review of nine design experts with a master’s degree or higher. Third,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ext data to derive everydayness-based communication methods and usage forms. Results : Lil Miquela uses semiotic meanings in products, backgrounds, contexts, and texts to shape her narrative and humanize herself. She focuses on being approachable by showing everyday contexts rather than directly advertising products. Thematic analysis reveals that her communication methods focus on sharing daily lives and inducing empathy, building relationships, and forming a common community. This communication through everydayness helps establish her identity by clarifying her personality, tastes, and interests. Conclusions : Lil Miquela is not only a source of fashion and cultural information, but also an object of idolization, and perform as a social medium of communication, self-projection, and expression. Her communication method involves sharing her tastes and thoughts to attract spontaneous fans. These tastes, derived from AI data, reflect current social issues and socially leading cultures and values, including diversity, multiculturalism, and human rights. Virtual influencers like her can address controversial issues without the emotional toll of negative comments and communicate beyond time and space limitations. And the ideal virtual fashion influencer should have an engaging personality, and fulfill social media’ s positive social roles, which include providing fundamental human needs for connection and comfort. They should demonstrate advanced human-like cognitive skills, such as communication, perception, understanding, planning, expressing beliefs, reasoning, and generating emotions and behaviors, both verbally and non-verb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