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론
Ⅱ. 사계절과 인간 그리고 문명의 변화
Ⅲ. 자연의 순환과 종말론의 결합
Ⅳ. 팡당과 의미의 생성
Ⅴ. 음악의 도입
Ⅵ. 결론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카스파르 다비트 프리드리히의 풍경화에 나타난 고딕 폐허의 양가성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2022 .02
근대 유럽에서 풍경화의 발흥과 진화
미술사논단
2022 .12
한국 개화기의 ‘풍경화’ 유입
미술사논단
2021 .06
Chinese Ancient Painting of Architecture and Its Traditional Environmental Aesthetic Conception
한국기초조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11
Pluralistic Views: the Space Expression of Modern Painting
동양예술
2021 .01
일제강점기 이상범의 신문 휘호 작품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22 .12
아시아의 ‘또 다른’ 회화(繪畫)에 대하여
미술사논단
2023 .06
1920년대의 조선미전과 풍경화의 발흥
미술사논단
2024 .06
죽화(竹畵)의 유형과 분류체제의 정립을 위한 시론
미술사논단
2018 .12
고려 초기 회화의 조명
미술사논단
2019 .06
예술의 (자기)성찰로서의 독일 낭만주의 - 프리드리히 슐레겔의 낭만주의 이론과 루드비히 티이크의 『금발의 에크베르트』를 경우로
한국예술연구
2023 .03
고려 중기의 북송과의 회화 교류
미술사논단
2019 .12
이용우(李用雨, 1902-1952)의 ‘묵로’시대 회화 연구 : 인물화와 화조화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18 .12
1990년대 한국화 읽기를 위한 제언 : 박생광 이후 채색화의 부흥과 영향
미술사논단
2018 .06
근대미술의 선구자 고희동의 회화세계 연구 서양화 - 요소를 절충한 한국화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017 .02
화문과 화제의 분류체제
미술사논단
2018 .06
현대 한국 서양화 사조 연구 : 국전 화풍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15 .12
고려 말기 인물화의 제 양상 (1)
미술사논단
2020 .12
조선 후기 남종화풍 문인산수화의 모방과 창작 : 화보의 분류 체계와 그 수용
미술사논단
2016 .06
19세기 한·중 개항장 풍속화의 기능과 특징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15 .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