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Ⅰ. 문제의 제기: 기본권보장국가로서 대한민국의 좌표Ⅱ. 기본권보장의 발전Ⅲ. 기본권학의 과제Ⅳ. 맺음말: 헌법개정과 기본권개정참고문헌
헌법재판소 2001. 4. 26. 선고 2000헌마390 전원재판부
가. 국민연금의 가입대상, 가입기간, 보험료, 연금수급자격 및 급여수준 등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정할 것인가는 국민의 소득수준, 경제활동연령, 정년퇴직연령, 평균수명, 연금재정 등 여러 가지 사회적, 경제적 사정을 참작하여 입법자가 폭넓게 그의 형성재량으로 결정할 수 있는 사항이라고 할 것이고, 그 결정이 명백히 자의적인 것으로서 입법재량을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8. 2. 27.자 97헌가10, 97헌바42, 97헌마354(병합) 전원재판부 결정
1.청구인의 유족연금 지급거부처분 취소 청구가 구 국가유공자예우등에관한법률 제77조 소정의 소멸시효완성을 이유로 기각된 것이 아님이 분명하고, “이 법에 의하여 보상을 받을 권리는 법 제6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등록신청을 한 날이 속하는 달로부터 발생한다”고 규정한 같은 법 제9조가 위헌으로 결정되어 청구인의 이 사건 헌법소원심판청구가 인용된다고 하더라도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7. 4. 17. 선고 96도3376 전원합의체 판결
[1] [다수의견] 우리 나라는 제헌헌법의 제정을 통하여 국민주권주의, 자유민주주의, 국민의 기본권보장, 법치주의 등을 국가의 근본이념 및 기본원리로 하는 헌법질서를 수립한 이래 여러 차례에 걸친 헌법개정이 있었으나, 지금까지 한결같이 위 헌법질서를 그대로 유지하여 오고 있는 터이므로, 군사반란과 내란을 통하여 폭력으로 헌법에 의하여 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75. 4. 8. 선고 74도3323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1967. 11. 2. 선고 67다1334 전원합의체 판결
가. 구 헌법(62.12.26. 개정헌법) 제20조 제3항에서 말하는 정당한 보상이라는 취지는 그 손실보상액의 결정에 있어서 객관적인 가치를 충분하게 보상하여야 된다는 취지이고 나아가 그 보상의 시기, 방법 등에 있어서 어떠한 제한을 받아서는 아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풀이할 것이므로 징발물보상에 관하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0. 6. 1. 선고 98헌마216 전원재판부
가. 이 사건 규정은 보상금수급권의 종류 및 요건, 시설보호규정과 함께 국가유공자의 공헌과 희생에 대하여 예우하고 보상할 구체적인 방법, 즉 국가유공자에게 보상금을 지급할지 아니면 양로시설 등에서 보호할지, 국가의 재정상 한정된 보상금을 어떻게 배분할지 등의 기본적 방법을 정하는 입법내용으로서, 전체적으로 볼 때 국가유공자에 대한 보상내용을
자세히 보기대법원 1964. 7. 21. 선고 64초3 판결
가. 당연무효로 판단할 수 없는 계엄에 대하여서는 계엄의 선포가 옳고 그른 것은 국회에서 판단하는 것이고 법원에서 판단할 수 없다고 해석하는 것이 상당하다.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5. 7. 21. 선고 93헌가14 全員裁判部
가. 재판의 전제성(前提性)이라 함은,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5. 5. 26. 선고 99헌마513,2004헌마190(병합) 전원재판부
가.이 사건 심판대상조항과 행위 중 본안판단의 대상이 되는 것은 주민등록법시행령 제33조 제2항에 의한 별지 제30호서식 중 열 손가락의 회전지문과 평면지문을 날인하도록 한 부분(이하 `이 사건 시행령조항`이라 한다)과 경찰청장이 청구인들의 주민등록증발급신청서에 날인되어 있는 지문정보를 보관·전산화하고
자세히 보기대법원 1971. 6. 22. 선고 70다1010 전원합의체 판결
구 국가배상법(67.3.3. 법률 제1899호) 제2조 제1항 단행의 규정은 구 헌법(62.12.26. 개정헌법) 제26조 제8조 제9조 제32조 제2항에 위반한다.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7. 5. 29. 선고 94헌마33 全員裁判部
가. 모든 국민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가지며 국가는 생활능력없는 국민을 보호할 의무가 있다는 헌법의 규정은 입법부와 행정부에 대하여는 국민소득, 국가의 재정능력과 정책 등을 고려하여 가능한 범위안에서 최대한으로 모든 국민이 물질적인 최저생활을 넘어서 인간의 존엄성에 맞는 건강하고 문화적인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는 행위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1. 9. 27. 선고 2000헌마342 전원재판부
가.청구인들 중 이 사건 심판청구 당시 이미 특별채용된 자들의 경우에는 특별채용이 된 날 이 사건 법률 제7조 제5항 본문 중 `사실상 근무기간은 경력과 호봉으로 인정되지 아니하며` 부분과 관련하여 기본권침해사유가 발생하였음을 알았다고 할 것이므로 그때부터 청구기간을 기산하여야 할 것인바, 이 사건의 경우 2000. 5. 24. 헌법소원심판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사회과 인권교육 개념에 관한 재검토, 인권교육인가? 기본권교육인가?
사회과교육연구
2019 .01
외국인의 기본권 주체성과 노동3권
유럽헌법연구
2019 .01
Regional Human Rights Mechanism and the Alternatives for Asia
동북아법연구
2017 .01
네덜란드 헌법상 기본권의 수평효(대사인효) 논의 고찰
공법학연구
2018 .02
외국인 근로자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례 분석 : 인간 존엄성의 관점에서
법학논총
2018 .10
자유권적 기본권의 도그마틱과 기본권 이론에 대한 검토
저스티스
2019 .02
생명・신체의 안전권에 대한 헌법적 고찰
법과정책
2019 .01
외국인이나 외국 공권력에 의한 기본권 가해시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와 유럽인권재판소 판례를 고찰하며 -
홍익법학
2019 .01
행형의 목적과 수용자 인권
교정연구
2003 .01
Activities of the UN Human Rights Council and Their Impact on the Human Rights Issues in North Korea
EAI 이슈브리핑
2016 .02
「국가인권위원회법」의 개정방향에 관한 연구
홍익법학
2018 .01
영국의 인권법과 인권기관
유럽헌법연구
2011 .01
Human Rights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Examining the Jurisprudence of the Human Rights Treaty Bodies
과학기술법연구
2008 .01
인권개념의 ‘세대’적 접근에 대한 비판적 고찰
법학연구
2018 .05
기본권 주체로서의 외국인
유럽헌법연구
2010 .01
현대인권론과 공리주의 -인권의 정당화-
법철학연구
2009 .05
해외진출 한국기업의 인권침해에 대한 책임구성 고찰
일감법학
2013 .01
교사의 정치적 기본권의 정당성에 관한 헌법적 고찰
미국헌법연구
2021 .04
헌법상 재산권보장조항의 공법적 쟁점 및 개헌방향
한양법학
2018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