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유통중인 즉석섭취 새싹채소와 샐러드의 세균오염 분석
한국식품과학회지
2011 .08
Impact of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MAP) on the Quality and Antioxidant Capacity of Salad-Cut Mixes of Leafy Vegetables: the Use Conversion from‘Ssam’to Salad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발표집
2017 .10
유통 중인 샐러드 및 반찬류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평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006 .01
Antioxidant Activity of Salad Vegetables Grown in Korea
Journal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04 .12
신선편의식품의 미생물안전성
Safe Food
2013 .01
스피루리나 첨가 저지방 샐러드 드레싱 저장 중 품질 특성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2005 .08
[P10-93] Green Vegetable Salad Intake Reduces Oxidative DNA Damage and Lipid Peroxidation in Mic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발표집
2005 .10
우리나라 기후대별 양배추 및 신선편이제품의 오염도 분석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012 .01
중학생의 채소류에 대한 기호도 및 메뉴 선호도 조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8 .12
Contamination patterns and molecular typing of Bacillus cereus in fresh-cut vegetable salad processing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16 .01
샐러드용 수삼의 재배방식과 저장온도에 따른 수확 후 품질변화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2011 .05
쌈샐러드 채소류의 일반성분과 식이섬유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4 .06
Multidrug-resistant diarrheagenic E. coli pathotypes are associated with ready-to-eat salad and vegetables in Pakistan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15 .01
[P8-137] Salad Vegetable Cocktail Supplemented Diet Shows Anti-atherogenic Effect in C57BL/6J Mic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발표집
2007 .10
Changes in Quality and Shelf-life of Mixed Fresh-cut Leafy Vegetable Salads Using Different Material Portion and Packaging Film
한국원예학회 기타 간행물
2008 .12
Cultivar Selection of Salad Cabbage for Production in Highland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07 .10
Cultivar Selection of Salad Cabbage for Production in Highland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2007 .10
저장조건에 따른 샐러드양배추 품종별 품질평가와 상품성 기간 구명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2009 .05
고랭지에서 수확시기에 따른 샐러드양배추 품종별 품질평가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2009 .05
Change of Total viable count in baby leaf salads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발표집
2013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