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광집 (서울예술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영상기술연구 영상기술연구 제37호
발행연도
2021.12
수록면
137 - 152 (1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Recently, with the commercialization of 5G, the immersive content industry is receiving attention again. Virtual reality (VR) content is changing as immersive content along with various platforms. In particular, in the field of VR vide o content, 180-degree stereoscopic content is attracting attention. 180-degree stereoscopic is different from 360-degree content that allows you to watch all the space up, down, left and right while wearing a Head-Mounted Display (HMD). Instead of limiting the viewing angle to 180 degrees, binocular disparity-based stereoscopic technology was used to provide immersion and depth to high users.
In this paper, we used 180-degre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ethods to view VR content and measure the user"s presence accordingly. For this purpose, two types of music video and entertainment VR contents that are widely consumed on various platforms were selected. As an analysis method, a presence survey is conducted as a subjective measurement method.
In conclusion, the effect of the difference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VR video viewing methods on user presence is confirm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실험환경 및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고찰
참고 문헌
Abstract

참고문헌 (1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2-688-000204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