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혜성 (평택대학교) 성례아 (백석대학교)
저널정보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64호, 2021년
발행연도
2021.9
수록면
31 - 58 (28page)
DOI
10.7230/KOSCAS.2021.64.031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오늘날 애니메이션과 영화와 같은 영상은 강력한 영향력을 갖게 되었다. 특히 사람들이 실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고 케이블과 OTT 서비스를 통해 영상을 접하는 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3D 애니메이션은 컴퓨터 기술과 발전으로 일컬어지는 테크놀로지와 디지털화로 애니메이션의 조형적 특징을 완전히 변화시켰다. 따라서 이러한 이미지를 보는 주체 즉, 대중, 관객 그리고 수용자 등이 어떻게 지각하는지 또는 인지하는지가 새로운 대중문화를 이끄는 중심 체계가 되었다.
이 시점에서 디지털 이미지에 관해 알아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여겨진다. 본 연구는 3D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조형적 시각인지요소를 바탕으로 디지털 이미지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최근에 개봉하고 큰 인기를 끈 〈소울〉과 〈라야와 마지막 드래곤〉을 대상으로 집중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전문가 패널의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객관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논문에서는 조형적 시각인지요소를 형태, 색채, 질감, 명암, 공간으로 상정하고 애니메이션의 이미지를 봤을 때 즉각적으로 느끼는 지각에 대해 알아본다. 애니메이션 분석에 있어 스토리나 움직임, 그리고 사운드 등을 제외하고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포스트모던 시대의 논쟁의 중심인 이미지와 보는 주체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3D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디지털 이미지의 대표적 특성은 극사실적 질감, 화려한 색채, 명암을 통한 입체감, 그리고 혼성적 스타일이다. 3D 애니메이션은 전통적인 애니메이션과 3D만의 독특한 양식이 융합되면서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현재 3D 애니메이션은 영상문화의 패러다임을 선도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조금이나마 애니메이션의 방향을 예측하며 모색해 나아가는 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델파이 분석
Ⅲ. 디지털 이미지의 조형적 특성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