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 산업화 추진은 일자리 창출, 문화 향유 기반 마련, 국가적 기술 선도 이미지를 제고한다. 애니메이션은 노동 집약적 콘텐츠로 애니메이션 제작의 활성화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한다. 애니메이션 제작기술을 보유하는 것은 자국 내의 콘텐츠 제작뿐 아니라 해외 콘텐츠 제작까지 가능하므로 지속이 가능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일자리 확보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개발도상국이 애니메이션 산업을 육성하는 것은 중요한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 개발도상국 중 하나인 케냐는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콘텐츠 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지원 의지가 높다. 하지만 케냐의 애니메이션 산업은 전반적으로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는 장비, 소프트웨어, 인력 등에 대한 자원이 부족하다. 이는 애니메이션 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기본적인 인프라 중 하나이다. 또한 제작을 위한 제작사와 제작 노하우를 축적하고, 국내외 유통 채널 등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이런 케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삼중 나선 모델을 중심으로 케냐의 애니메이션 산업을 분석하고 정부와 산업, 대학의 협력 관계 구축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 제작사와 연구자, 협회, 정부 등의 각 기관의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각 분야에서 진행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제작사는 창작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고자 하는 적극적으로 움직여야 하며, 협회는 정부와 제작사를 잇고 애니메이션 제작업에 종사하고 싶은 사람들의 권리를 마련해야 한다. 연구소는 학교와 교육 기관 내에 애니메이션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정부는 이러한 각 분야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이들의 요구를 수용하고 애니메이션 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단계별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케냐는 유럽권 국가들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으므로 이를 활용한 적극적인 시장 진출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 케냐에서 제작하고 있는 창작 애니메이션은 전무한 실정이므로 콘텐츠 판매를 위한 전략보다 마케팅 DB를 구축하고 창작 애니메이션 제작 기반을 마련하는 동안 마케팅을 이끌어 갈 수 있는 시스템을 준비하는 단계의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애니메이션 제작은 영상 산업 전반에 걸친 기술을 선도하는 것으로, 국가적인 차원에서 신기술을 확보하여 신성장 동력으로 가치를 제고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의 제작 기술을 보유하고 자국 내에서 창작 애니메이션 제작의 활성화를 이루는 것은 어린아이들과 청소년들이 교육적이고 재미있게 예술을 접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풍요로운 문화 콘텐츠를 확보하는 것으로, 자국민의 문화 향유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노력은 케냐의 콘텐츠 위상 정책에도 영향을 주어 콘텐츠 글로벌화 이미지를 제고할 것으로 기대한다.
Kenya"s animation industry generally lacks resources for equipment, software, and manpower to produce animation. This is one of the basic infrastructures that can foster the animation industry. In addition, it is urgent to secure production companies, production know-how, and domestic and foreign distribution channels for produc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first establish an organic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on companies, researchers, associations, and the government, and prepare strategies to proceed in each field. To this end, production companies should actively move to produce creative animation, and the association should connect the government with production companies and provide the rights of those who want to work in the animation production industry. Laboratories should strive to conduct research on animation and build databases within school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government should identify movements in each of these areas, accommodate their needs, and come up with step-by-step policie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animation industry. Kenya is building a network with European countries, so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active market entry strategy using it. However, since there is no creative animation currently being produced in Kenya,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arketing DB rather than a strategy for selling content and prepare a system to lead marketing while laying the foundation for creative animation production. The promotion of animation industrialization will have expected effects such as job creation, laying the foundation for cultural enjoyment, enhancing the national technology-leading image, and globalizing content. Animation is labor-intensive content, and the activation of animation production creates many jobs. Having animation production technology allows not only domestic content production but also overseas content production, so we can expect to secure sustainable and profitable jobs. In addition, animation production leads the technology throughout the video industry, and new technologies can be secured at the national level to enhance their value as a new growth engine. Having animation production technology and revitalizing creative animation production in the country can lay the foundation for children to enjoy culture by establishing an environment where children and teenagers can experience art in an educational and fun way and securing rich cultural content. In addition, these efforts are expected to affect Kenya"s content status policy to enhance the image of content glob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