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기를 불어넣다’, ‘움직이게 하다’라는 animate라는 단어를 기원으로 하는 것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움직임은 애니메이션에서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요소이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주로 등장 캐릭터들이 움직임을 담당하여 여러 방식으로 움직이고 연기하며 스토리를 이끌어나가게 되며, 이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분석하고 발전시키는 일은 애니메이션 연구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극장용 3D애니메이션 〈레드슈즈〉와 미국의 극장용 3D애니메이션 〈라푼젤〉의 캐릭터 애니메이션의 동작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2019년 개봉한 〈레드슈즈〉는 국내 최고의 제작인력들, 많은 제작비, 아름다운 티저 영상 등으로 제작 당시부터 국내외의 많은 관심을 받았으며 높은 수준으로 완성이 되었으나 결과적인 흥행은 아주 성공적이지는 못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한국 애니메이션 발전을 위한 〈레드슈즈〉의 흥행요소 분석이 요구되며, 애니메이션의 요소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 캐릭터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발전시키는 것도 하나일 것이다. 이에 성공한 미국 디즈니의 애니메이션인 〈라푼젤〉과의 캐릭터 움직임을 비교분석 하고자 하며, 여기서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과연 애니메이션에서 캐릭터의 움직임 변화를 이끄는 요인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어떠한 방식으로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고 정리하고자 한다.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분석하는 도구로는 헝가리의 안무가이자 무용 이론가 루돌프 폰 라반의 움직임 이론(LMA)를 사용한다. 라반은 인간의 움직임을 몸, 에포트, 공간, 셰이프의 네 가지 특질로 나누어 분석하는 이론을 제시했는데, 여기서는 캐릭터 움직임의 에포트와 셰이프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분석은 우선 분석대상 캐릭터들의 성격, 배경, 특징들을 파악한 후, 캐릭터 움직임들의 변화와 특징을 살펴본다. 〈레드슈즈〉와 〈라푼젤〉은 전통적인 민담 스토리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비슷한 장면들이 나오는데, 여기서의 각 캐릭터의 움직임을 비교한다. 이외에도 각 캐릭터 별로 에포트와 셰이프가 변화하는 부분들을 분석하여 변화의 양상은 어떠한지, 그리고 움직임의 변화를 이끄는 요인들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파악하고 분류한다. 결과적으로 캐릭터 움직임의 다양성을 유도하는 요인으로 5가지 요인과 8가지 세부 방식들이 도출되었으며, 많은 부분들이 기획단계에서 계획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애니메이션을 제작함에 있어서 이러한 요소들을 알고 적용한다면 좀 더 다양하고 재미있는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Movement is the most fundamental and important element in animation, as can be seen from the origin of the words “invigorate” and “move”. In animation, the characters are mainly in charge of movement, moving, acting, and leading the story in various ways, and analyzing and developing this character animation is an indispensable part of animation research.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movements of character animations of the 3D animation Red Shoes for theaters in Korea and the 3D animation Tangled for theaters in the United States. Released in 2019, 〈Red Shoes〉 received a lot of attention at home and abroad from the time of production due to the nation’s best production personnel, large production costs, and beautiful teaser videos, and was completed at a high level, but the resulting box office success was not very successful. Accordingly, analysis of the box office elements of 〈Red Shoe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animation is required, and there are many elements of animation, but one of them is to analyze and develop the character’s movement. I would like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 movements with Disney’s successful animation 〈Tangled〉 in the United States, and furthermore, I would like to find out what factors drive the character’s movement change in animation and how they work. The motion theory (LMA) of Hungarian choreographer and dance theorist Rudolph von Laban is used as a tool for analyzing character animation. Laban presented a theory that analyzes human movement by dividing it into four characteristics: Body, Effort, Space, and Shape, where we focus on the changes in Effort and Shape in character movement. The analysis first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to be analyzed, and then examines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 movements. 〈Red Shoes〉 and 〈Tangled〉 have something in common as traditional folk tales, and similar scenes come out, comparing the movements of each character here.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changes in the Effort and Shape for each character, it identifies and classifies the patterns of change and the factors that lead to the change in movement. As a result, five factors and eight detailed methods were derived as factors that induce diversity in character movements, and it was found that many parts should be planned at the planning stage. I think that if we know and apply these factors in producing animation in the future, we will be able to create more diverse and fun character anim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