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론
Ⅱ. 앨런 캐프로의 환경: 퇴화와 비영속성
Ⅲ. 놀이로서의 해프닝: 참여 그 자체가 목적인 무용(無⽤)한 작업
Ⅳ. 결론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유동적 창안 공연’의 개념 및 현실화
연극교육연구
2016 .01
21세기 서양미학의 동향과 전망을 위한 시론 2-아방가르드 이론의 재검토 : 부클로 및 포스터의 뷔르거 비판과 뷔르거의 응답을 중심으로
현대미술사연구
2015 .06
1960년대에서 1970년대로, 전환의 미술 - 그룹 ‘AG’를 중심으로
미술사논단
2015 .06
‘놀이’를 다루는 예술가의 미술교육적 시사점에 대한 연구
조형교육
2019 .01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전위 예술의 전복적 전략에 대한 연구 - 20세기 후반 이후 전위 예술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2020 .01
[이달의 잔상] 기후위기 시대의 아방가르드
월간미술
2023 .11
[ART FORUM] 한국의 전위예술(Avant-Garde)과 구타이
월간미술
2023 .02
Modernism and Politics of Avant-garde : Has it Changed the Image of Woman?
한국디자인학회 국제초대전도록
2018 .06
김구림의 아방가르드에 대한 고찰 -〈매스미디어의 유물>, 제4집단 이전의 해프닝과 제4집단의 활동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021 .10
크로스 해프닝: 규칙과 환경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일어나는 조직화된 우연 - 1960년대 해프닝과 드론 이벤트를 중심으로
한국영상학회논문집
2019 .01
Fluxus19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19 .11
AG(Avant-Garde) 그룹의 실험미술 전시 연구
현대미술사연구
2022 .06
20세기 초 아방가르드 시기 전시 디자인 연출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01
이강소와 《대구현대미술제》 : 1970년대 전반기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24 .07
플럭서스의 게임: 인터미디어로서의 예술적 실천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2021 .08
한국
예술과 미디어
2015 .01
〈영화를 위한 선〉: 아방가르드의 교차적 장소
NJP 리더
2023 .05
플럭서스의 것, 혹은 ‘레디메이드(Readymade)’로서의 〈플럭스키트〉
현대미술사연구
2021 .12
Art is everywhere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4 .08
Art can do it!
한국기초조형학회 작품집
2024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