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28권 제6호
발행연도
1999.12
수록면
1,369 - 1,379 (1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부산에 거주하는 만 1세에서 6세의 아동 17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식습관과 세끼식사와 간식을 통한 영양소 섭취실태를 파악하고 다양한 방법에 의해 영양소 섭취를 기준으로 식사의 질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아동의 63.1%가 자주 결식하였으며, 주로 결식하는 끼니로 아침결식이 72.1%로 가장 많았다. 51.1%가 불규칙적인 식사를 했으며, 33.5%가 편식하였다. 94.5%가 적어도 하루에 1회이상 간식을 섭취한 것으로 나타나 간식이 아동들의 식생활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전체아동의 평균 에너지 섭취량은 1406.4kcal였으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열량 구성비율은 평균 57.7 : 13.7 : 28.6으로, 지방 섭취비율이 높았으며 특히 1~3세군에 30.0%로 높았다. 단백질과 칼슘은 동물성 급원에서 각각 54.9%, 71.7%을 섭취하여 질적으로 양호하였으나, 철분은 식물성 급원에서 73.5%를 섭취하여 질적으로 문제가 되었다. 4~6세군의 경우 동물성 급원의 칼슘 섭취비율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전체아동의 경우 칼슘, 철분, 나이아신, 1~3세군의 경우 철분과 나이아신, 4~6세군의 경우에는 에너지, 칼슘, 비타민 B₂, 나이아신의 섭취량이 권장량에 미달하였는데 특히 4~6세군의 칼슘 섭취량은 권장량의 74.3%로 크게 미달하였다. 권장량의 75%미만을 섭취한 사람들의 비율은 칼슘, 철분, 비타민 A, 나이아신, 비타민 C의 경우 두 연령군 모두 36%이상이었으며, 대부분 영양소들의 경우 4~6세군에서 더 높았다. 영양소 적정섭취비가 가장 낮은 영양소는 전체아동과 1~3세군의 경우 철분, 4~6세군은 칼슘으로 0.7이하였으며, 전체아동의 칼슘과 4~6세군의 철분, 나이아신, 비타민 C는 권장량의 2/3수준을 나타내는 0.75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영양소 적정섭취비값이 칼슘(p<0.05)과 비타민 B₂(p<0.01)의 경우 4~6세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철분의 경우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비타민 B₂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평균적정섭취비는 전체아동 0.82, 1~3세군 0.83, 4~6세군 0.80이였다. 에너지 섭취차이를 고려한 INQ값은 전체아동과 1~3세군에서 칼슘(0.87, 0.93), 철분(0.95, 0.78), 나이아신(0.88, 0.86)이, 4~6세군에서 칼슘(0.91), 비타민 B₂(0.98), 나이아신(0.89)이 1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INQ값이 철분과 비타민 A의 경우 4~6세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비타민 B₂는 1~3세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1). 영양소 섭취량비율을 끼니별로 볼 때 에너지, 지방, 칼슘, 인, 철분, 비타민 B₂, 비타민 C의 경우 두 연령군 모두 간식에서의 섭취비율이 31.6~59.0%으로 세끼식사에서보다 높았다. 간식에 의한 지방섭취비율은 4~6세군 39.5%, 1~3세군 44.8%로 특히 1~3세군에서 높았는데, 본 조사대상 아동의 경우 지방에 의한 에너지 섭취비율이 높은 편이며 이는 주로 고지방 간식으로 인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간식으로부터 1~3세군의 경우 에너지, 단백질, 칼슘, 인, 비타민 B₂, 비타민 C를, 4~6세군의 경우 인과 비타민 C를 권장량의 40%이상 섭취하였으며, 특히 비타민 C의 경우 권장량의 약 90% 섭취하였다. 영양소 적정섭취비는 1~3세군 나이아신, 4~6세군 비타민 A과 나이아신의 경우 세끼식사에서 높았으나, 나머지 영양소들은 간식에서 더 높았으며 평균적정섭취비도 더 높았다. 간식에서의 영양소 적정섭취비와 평균적정섭취비는 대부분의 영양소의 경우 1~3세군에서 더 높았다. 끼니별 각 영양소들의 INQ값은 1~3세군의 경우 세끼식사에서 칼슘(0.69~0.90)과 철분(0.72~0.83), 간식에서는 철분(0.73), 비타민 A(0.69), 나이아신(0.47), 4~6세군의 경우 세끼식사에서 칼슘(0.55~0.76)과 비타민 B₂(0.83~0.94), 간식에서 비타민 A(0.63)과 나이아신(0.55)이 1보다 낮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 조사대상자들의 경우 연령군에 따라 각 영양소의 섭취와 식사에서의 질상태가 다르며, 4~6세군의 경우 많은 영양소에 있어서 영양섭취가 부족한 집단이 상대적으로 더 많았음을 알 수 있다. 1~3세군의 경우 철분, 4~6세군의 경우 에너지 섭취를 비롯하여 칼슘, 철분, 나이아신과 비타민 C등 영양소 적정섭취비가 0.75이하인 영양소 섭취에 특히 유의해야 할 것 같다. 특히 1~3세군의 경우 철분섭취 급원이 주로 흡수율이 낮은 식물성 급원일 뿐만 아니라 철분 섭취량도 부족하여 철분영양상태가 우려된다. 4~6세군의 경우 칼슘 섭취량이 권장량에 크게 미달하였으며, 동물성 급원으로부터의 칼슘의 섭취비율도 1~3세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므로, 이 연령군부터 칼슘급원식품을 중심으로 칼슘섭취에 관한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철분 영양소 적정섭취비값이 유의하게 증가하나, 비타민 B₂ 영양소 적정섭취비값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므로 영양교육시 이러한 경향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식사의 질적인 면에서 1~3세군의 경우 세끼식사에서 칼슘과 철분, 간식에서는 철분, 비타민 A, 나이아신 등의 섭취에 문제가 있으며, 4~6세군의 경우 세끼식사에서 칼슘과 비타민 B₂, 간식의 경우 비타민 A와 나이아신의 섭취에 문제가 있어 주로 철분과 칼슘 그리고 비타민 A, 비타민 B₂, 나이아신 등의 무기질과 비타민 섭취에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본 조사대상자의 식생활에 있어서 간식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간식에 의한 영양공급량을 줄이고 세끼식사에서의 영양소 적정섭취를 향상시키기 위한 식생활의 영양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연령별로 볼 때 특히 1~3세군이 간식에 의지하는 비율이 더 높으므로 이 시기에 간식에 대한 식생활관리가 더욱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학령적 아동의 영양 및 건강증진을 위해 각 연령의 영양섭취 특성을 고려한 영양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연령별로 각 집단의 영양섭취 특성을 좀 더 자세히 파악하는 연구가 앞으로 많이 이루어져야 하리라 생각된다.

To assess the food habits, nutrient intake and diet quality of preschool children aged 1 to 6 in Pusan by their meals and snacks, dietary survey was conducted with 176 subjects by a questionnaire and 24hr recall method. 63.1% of the subjects often skipped meals and 72.1% of those skipped breakfast in the main. 94.5% had snacks over once per day. The mean energy intake was 1406.4㎉, with 57.7% of energy intake being supplied by carbohydrate, 13.7% by protein, 28.6% by fat. 54.9%, 71.7% and 26.5% of intakes of protein, calcium and iron were supplied respectively by animal food. Most of iron intake came from plant origin. The percent of calcium intake from animal origin was low significantly in a group aged 4 to 6(p<0.05). The mean intakes of calcium, iron and niacin of total subjects were below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RDA) for Koreans. The mean intakes of iron and niacin of a group aged 1 to 3 were below RDA as well as those of energy, caicium, vitamin B₂ and niacin of the group aged 4 to 6. For calcium, iron, vitamin A, niacin and vitamin C, proportions of subjects with intake levels less than 75% of RDA were all over 36%. For most nutrients, proportions of subjects with intake levels less than 75% of RDA were higher in the group aged 4 to 6 than in the group aged 1 to 3. Nutrient adequacy ratios(NAR) were the lowest in iron in case of the group aged 1 to 3 and in calcium in case of the group aged 4 to 6. NAR of iron increased and that of vitamin Bz decreased significantly along increase in age(p<0.05). The mean adequacy ratios(MAR) were 0.82 for total subjects, 0.83 for the group aged 1 to 3 and 0.80 for the group aged 4 to 6. The indexes of nutritional quality(INQ) of calcium, iron and niacin of the group aged 1 to 3 were below 1 as well as those of calcium, vitamin B₂ and niacin of the group aged 4 to 6. Both of the age groups received 31.6~59.0% of daily intakes of energy, fat, calcium, phosphrous, vitamin B₂ and vitamin C from snacks. So snacks clearly play an important role in dietary intake. Both of the NARs of most nutrients and MAR were higher in snacks than in three meals. The INQs of calcium and iron from three meals and those of iron, vitamin A, vitamin B₁ and niacin from snacks of the group aged 1 to 3 were all below 1. The INQs of calcium and vitamin B₂ from three meals and those of vitamin A and niacin from snacks of the group aged 4 to 6 were al1 below 1. In conclusion, nutritional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between the two age groups.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improve adequacy of nutrient intake through meals. And dietary management for snacks is needed especial1y in the group aged 1 to 3.

목차

Abstract

서론

연구내용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감사의 글

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511-018109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