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중 지질농도는 식이단백질 종류보다는 연령의 영향을 많이 받아, young군보다 old군의 총 콜레스테롤, TG, HDL-콜레스테롤, LDL+VLDL-콜레스테롤 및 AI 모두 높았다. 한편 콩 단백질군에서 HDL-콜레스테롤 수준이 증가하고, LDL+VLDL-콜레스테롤와 AI는 감소하여, 심혈관질환에 대한 콩 단백질의 유익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식이단백질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은 혈장 인지질의 지방산조성중 22:0, 18:1ω9, ∑MUFA 조성은 카제인군에서 콩 단백질군 보다 높았으며, 반대로 ∑SFA 조성은 카제인군에서 낮았다. 연령에 의해 혈장 인지질 지방산 조성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인 지방산 중 22:0, 18:1ω9, 22:1, 18:3ω3 및 22:4ω6는 young군에서 높은 반면에, 22:6ω3, ∑ω3, 18:2ω6, 20:4ω6, ∑ω6 및 ∑PUFA의 조성비율은 old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식이 단백질의 종류보다 연령의 영향력이 더 많이 나타난 것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식이 단백질보다는 연령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혈장 인지질 지방산의 대사지표 중 Δ7-desaturation index(16:0⇒16:1ω7)와 Δ9-desaturation index(18:0⇒18:1ω9)가 식이 단백질의 영향을 받아 카제인군에 비해 콩 단백질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Δ7- 및 Δ9-desaturation index만이 식이 단백질의 영향을 받은 것은 식이 단백질보다 desaturase 활성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콜레스테롤이 식이에 첨가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Δ-4 desaturation index (22:4ω6⇒22:5ω6)는 young군에 비해 old군에서 높았으며, elongation index(20:4 ω6⇒22:4ω6)는 old군에서 낮았다. 대부분의 elongation과 desaturation 단계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으나, ω3계 지방산의 전체적인 elongation-desaturation 단계를 나타내는 ∑products-fatty acid(ω3)/α-LNA(ω3) 비율이 old군에서 young군보다 유의하게 높아, 연령에 따른 PUFA 대사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콩 단백질의 섭취로 흰쥐 혈장 인지질의 ∑MUFA 조성은 낮고 ∑SFA 조성은 높아 다른 지질 강화성분의 섭취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높은 old군에서 체내 막조직의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PUFA의 합성 특히 ω3계 지방산의 elongation-desaturation이 증가하여 총 PUFA 조성이 young군보다 높았다. 연구결과로 이소플라본을 포함한 콩 단백질의 혈중 지질저하 기전에 대해 체계적인 설명은할 수 없지만, 콩 단백질이 혈장 지방산의 조성을 변화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심혈관계 질환에 대해 유익한 효과를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혈관의 건강과 관련된 콩의 유익한 효과는 이소플라본과 같은 콩의 특정 성분의 단독효과라기보다는 콩 단백질과의 복합효과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은 매우 설득력 있다고 생각된다.
Effects of soy protein concentrate (SPC) containing isoflavone and casein diets on plasma phospholipid (PLs)-fatty acid patterns were investigated in 7- & 40- wk old female rats. Diets containing 16% SPC (soy/young: SY, soy/old: SO) and casein (casein/young: CY, casein/ old: CO) supplemented with 0.5% cholesterol were fed for 4 wks. Fatty acid compositions of plasma PLs were determined by TLC and GLC. Compared to the dietary protein effects, age effects on serum lipids were more profound. The levels of total cholesterol (Chol.), triglyceride, HDL-Chol., (LDL+VLDL)-Chol. and atherogenic index (AI) were higher in older groups (OC & OS) than younger groups (YC & YS). Soy groups had higher HDL-Chol. level and lower (LDL+VLDL)-Chol. and AI, compared with casein groups. The compositions of C22:0, C18:1ω9 and sum of MUFA in plasma P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asein group (CY & CO) than soy group (SY & SO), but those of sum of SFA were higher in soy group. The compositions of C22:0, C18:1ω9, C22:1, C18:3ω3 and C22:4ω6 were higher and those of C22:6ω3, sum ofω3, C18:2ω6 C20:4ω6, sum ofω6 and sum of PUFA were lower in plasma PLs of younger rats. The average P/S and ω3/ω6 ratio in older group was higher. The Δ-7 desaturation index (16:0⇒16:1ω7) and Δ-9 desaturation index (18:0⇒18 : 1ω9) were lower in soy group than casein group, while Δ-6 and Δ-5 desaturation index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protein. The Δ-4 desaturation index (22:4ω6⇒22:5ω6) were higher and, elongation index (20:4ω6⇒22:4ω6) were lower in older group. The ratio of the products of ω3 fatty acid series/precursor of ω3 fatty acid series (C18:3)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lder group, which in- dicated that age affected the plasma PUFA metabolism. On the other hand, older rats had higher serum cholesterol level compared with younger rats. Taken together, these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 might cause minimal changes in the membrane fluidity induced by the increase serum cholesterol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