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문현공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저널정보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철학∙사상∙문화 철학?사상?문화 제24호
발행연도
2017.6
수록면
269 - 297 (2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글은 동양의 대표적인 철학이자 종교인 불교와 유교의 죽음관에 대해 탐구하는 글이다. 과거의 자연스럽고 친숙했던 죽음은 현 사회에서 부자연스럽고 기계적인 것으로 변모했다. 또한 죽음은 높은 자살률과 그 이면의 낮은 삶의 질이 보여주듯 인위적이며 왜곡된 것으로도 바뀌었다. 퇴보하고 있는 현 죽음문화에 제동을 걸기 위해서는 과거의 사상을 돌아보고 배워야하며 죽음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역설적으로, 죽음에 대한 담론을 확대하고 죽음을 개방시켜 삶의 순간이 소중함을 자각시켜야 한다. 본 글도 그러한 죽음에 대한 담론 중 하나이다. 본문에서는 먼저 불교와 유교의 죽음 정의에 대해 알아보았다. 불교는 수명[壽]과 열기[暖] 의식[識]의 분리와 오온(五蘊)의 해체가 죽음이라고 보았다. 유교에서 죽음은 자연현상의 하나로서 기(氣)의 취산(聚散)을 바탕에 둔 혼백(魂魄)의 분리라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죽음이해의 배경에는, 불교는 십이연기(十二緣起)를 중심으로 연기적 관점에 따라 죽음(死)과 삶(生)이 얽혀있음을 보았다. 그리고 선진유가에서는 죽음보다는 삶에 무게를 두고 죽음은 삶을 완성하는 도구로 삼는 태도를 보았으며 신유가에서는 기의 순환적인 관점에서 태어남은 기의 펴나옴이고 죽음은 기의 흩어짐이라는 관점을 바탕으로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불교의 죽음극복에서 중요한 것은 사(死)가 아닌 생사(生死)의 극복과 이를 통한 ‘불생(不生)’이고 유교에서는 예(禮)를 중심으로 한 효(孝)와 제(祭)의 실천을 통해 조상부터 자손까지 계속적으로 이어지는 삶을 통한 영생의 추구에 죽음극복의 실마리가 있음을 알아보았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